동남아 입국자 4명만 신고…해외유입 가능성
한국, 1982년부터 38년 동안 ‘퇴치’ 유지지난해는 동남아 노동자 4명만 환자로 신고
“외국인 밀집지역 중심 증상 홍보 필요”
과거 한센병 환자의 단종 수술과 사망자 해부를 하던 검시실 모습. 과거 한센병은 ‘치유 불가능한 병’으로 오해를 받았지만, 실제로는 완치가 가능한 병이다. 특히 지난해 한국인 신규환자가 1명도 발생하지 않는 등 한국은 완전 퇴치를 눈앞에 둔 상태다. 연합뉴스
30일 질병관리본부의 ‘2019년 국내 한센병 신환자 사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한센병 신규환자는 4명으로 보고됐다. 이들은 모두 한센병 퇴치가 이뤄지지 않은 동남아 지역에서 취업 목적으로 입국한 노동자로 20대가 2명, 30대가 2명이었다. 한국인 신규환자는 1명도 없었다.
동남아와 중국 등의 지역은 아직 한센병이 퇴치되지 않은 상태다. 2018년 기준 세계 127개국에서 20만명의 환자가 새로 발생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이미 1982년 한센병 퇴치 목표(인구 1만명당 1명 이하)에 도달해 38년 동안 퇴치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센병은 세간의 우려와 달리 예방백신은 없지만 답손, 리팜피신, 클로파지민 등의 치료제로 완치가 가능한 병이다. 특히 리팜피신을 복용하면 원인균인 ‘나균’이 99.9% 사멸해 전염력이 사라진다.
한센사업 대상자수는 처음 통계를 만든 1953년 1만 7458명에 이르렀고 1969년 3만 8229명으로 최고점을 지난 뒤 2018년 9632명으로 급감했다. 이들은 대부분 65세 이상 고령자로,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신규 환자는 51명에 불과하다. 지난해는 6명이었다.
지난해 신고된 신규환자 4명은 2016년 입국자 1명, 2017년 입국자 2명, 지난해 입국자 1명이다. 모두 합법적으로 입국한 노동자들이다.
1명은 자국에서 한센병 진단을 받은 상태로 입국했고 3명은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동남아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나균 유형으로 해외 유입이 의심됐다. 이에 대해 공인식 질병관리본부 결핵·에이즈관리과장은 “현재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 중이어서 단정적으로 해외에서 유입됐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해외 유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 연구팀은 “한센병은 주로 피부증상을 동반해 피부과로 내원하는 만큼 한센병 환자가 많은 국가에서 온 환자가 피부·신경계 증상을 호소하면 한센병 가능성을 의심해야 한다”며 “한센병 조기 발견·치료를 위해 외국인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한센병 증상에 대한 교육과 홍보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