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색화 1세대’ 조용익 화백 별세

‘단색화 1세대’ 조용익 화백 별세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3-07-04 02:17
업데이트 2023-07-04 02: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조용익 화백. 서울신문 DB
조용익 화백. 서울신문 DB
‘단색화 1세대’로 분류되는 조용익 화백이 지난 2일 별세했다. 89세.

1934년 함경남도 북청에서 태어난 조 화백은 열세 살에 월남했다. 서울대 회화과를 졸업하고, 1961년 제2회 파리 비엔날레, 1962년 악튀엘전 등 한국 추상회화의 시작을 알리는 주요 전시에 참여했다. 1967년과 1969년 파리 비엔날레의 한국 전권대표로 참여하기도 했다.

추계예술대 교수, 한국미술협회 부이사장을 지내는 등 2000년대 초반까지 한국 화단에서 중추적 역할을 했다. 병환 등으로 화업을 중단했다가 2016년 성곡미술관에서 회고전을 열며 재기에 나서기도 했다. 윤진섭 미술평론가는 그에 대해 “1974년 단색화로 전환한 이후 빠른 시간에 자신을 숙성시켜 스타일을 확립한 작가”라고 평가했다.

빈소는 경기 양평군 양서농협장례문화원, 발인은 4일 오전 5시.

정서린 기자
2023-07-04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