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로 뿌리 찾은 재일동포 소리꾼

판소리로 뿌리 찾은 재일동포 소리꾼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6-09-11 21:36
업데이트 2016-09-11 22: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성민씨 21일 수궁가 완창 공연

18년간 한국에서 국악 배워
국가 무형문화재 이수자 지정
“동포들 삶·정서 소리로 풀 것”


이미지 확대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이수자인 재일교포 3세 안성민씨가 판소리 공연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이수자인 재일교포 3세 안성민씨가 판소리 공연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한국에서 판소리 공연을 한 뒤의 목표요? 저 같은 재일동포의 삶과 정서를 소리로 풀어낼 겁니다. 판소리는 소리의 힘으로 기쁨, 사랑, 갈등, 슬픔 등 인생사를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예술이거든요.”

오는 21일 서울 강남구 한국문화의집에서 ‘수궁가’ 완창 공연을 하는 재일동포 3세 안성민(50)씨는 “그간 해온 어떤 공연보다 긴장된다”면서도 “내 뿌리인 한국에서 당당하게 무대에 선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는 자신감을 보였다.

18년간 판소리를 배운 그는 지난 1월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이수자가 됐다. 전통무용에는 재일동포 이수자가 있었지만 판소리 분야는 안씨가 처음이다.

그의 국적은 한국이지만 대학 입학 전까지만 해도 한국어를 한마디도 못했다. 대학에서 ‘한국문화연구회’ 활동을 하면서 선배의 권유로 판소리를 접하고는 매력에 눈을 떴다. 대학을 졸업한 뒤에 일본공립초등학교에서 방과후 교사를 하다가 1998년 판소리를 제대로 배우겠다는 일념으로 한국에 왔다. 광주에서 1년 남짓 윤진철 명창에게 판소리를 배운 뒤 1999년 한양대 국악대학원에 입학했다.

2001년 남해성 명창이 구룡계곡에서 여는 여름 산공부 캠프에 참가하면서 인연이 쌓았다. 그는 “선생님께 판소리를 가르쳐달라고 하자 ‘우리 소리를 사랑해 바다 건너에서 배우러 와주어 고맙다’고 하셨다. 한국어 발음이 좋지 않은 내게 ‘너만이 낼 수 있는 소리가 있을 것’이라는 격려가 큰 힘이 됐다”고 떠올렸다.

안씨는 일본 오사카에서 3개월에 한 번씩 ‘판소리 라이브 공연’을 연다. 매년 여름엔 산공부 캠프도 참여한다. “판소리에 인생의 지혜는 문화나 국가를 뛰어넘습니다. 판소리의 힘을 일본에 알리며 소리꾼으로 우뚝 서는 모습을 모든 분들께 보여드리고 싶어요.”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6-09-12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