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와로 본 가야의 숨은 매력

기와로 본 가야의 숨은 매력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6-12 17:42
업데이트 2016-06-13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4일부터 국립김해박물관 특별전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은 가야 기와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시가 마련됐다. 문화재청과 한국매장문화재협회, 국립김해박물관이 14일부터 오는 9월 18일까지 김해박물관에서 공동 개최하는 특별전 ‘기와, 공간을 만들다-최근 발굴 자료로 살펴본 영남지역의 기와’다.

이미지 확대
김해 부원동 유적지에서 출토된 가야 기와. 국립김해박물관 제공
김해 부원동 유적지에서 출토된 가야 기와. 국립김해박물관 제공


이미지 확대
고령 대가야왕궁터에서 나온 연꽃무늬수막새. 국립김해박물관 제공
고령 대가야왕궁터에서 나온 연꽃무늬수막새. 국립김해박물관 제공
전시는 4부로 구성됐다. 1부 ‘흙, 인류문화와 함께하다’에선 토기와 기와를 통해 동서양에서 흙이 갖는 상징성과 인류가 흙과 더불어 일궈온 삶의 발자취를 되새겨 본다.

2부 ‘기와를 만들다’에선 기와 제작 기술 발전 과정, 기와 생산과 소비 양상을 시대별로 살펴본다. 특히 고령, 김해 등 가야의 옛 도읍지에서 나온 기와들을 통해 가야 기와의 멋을 고스란히 맛볼 수 있다. 중요무형문화재 제91호 고 한형준 제와장 보유자가 사용하던 기와 제작 도구 유품과 일본 도쿄대박물관이 소장 중인 고령 대가야왕궁터 출토 연꽃무늬수막새도 만나 볼 수 있다.

3부 ‘과학의 눈으로 들여다보다’에선 기와의 주재료인 점토를 과학적 측면에서 새롭게 조명한다. 기와 제작에 어떤 흙이 사용되는지 직접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는 체험도 할 수 있다.

4부 ‘기와 공간을 만들다’에선 기와가 삼국시대 이후 오랜 세월 우리와 함께하며 아늑한 삶의 공간이 돼줬다는 점을 가야와 신라시대 사람들이 만든 집모양토기를 통해 고찰한다. 임학종 김해박물관장은 “그간 가야 기와에 대한 관심이 적었던 만큼 이번 전시가 갖는 의미는 남다르다. 기와와 벽돌은 고대국가의 상징이다. 이젠 가야 기와도 연구할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6-13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