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먹을 놓고 철을 만나니… 매화로 피어나네

먹을 놓고 철을 만나니… 매화로 피어나네

입력 2014-01-15 00:00
업데이트 2014-01-15 02: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환 성균관대 교수 개인전

“어느 날 갑자기 먹과 채색이 낯설게 느껴졌고 그렇게 철과 인연을 맺었어요. 작가라면 재료가 주는 한계를 떠나 표현할 줄도 알아야 합니다.”

이미지 확대
조환의 반야용선
조환의 반야용선
조환(56) 성균관대 교수는 전통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새로운 소재와 기법을 확장시켜 온 작가다. 한국화의 현대적 변용을 꿈꾸며 한지와 붓 대신 철판과 전기 절단기를 손에 잡은 게 다를 뿐이다. 작가는 “딱딱하고 차가운 쇠의 물성을 다듬은 뒤 빛을 비추면 180도 달라진다”면서 “쇠는 한계가 많은 만큼 강하고 함축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의 작업은 마치 구도의 과정과 같다. 값싼 자투리 쇠붙이를 모아다가 밑그림도 없이 쓱싹쓱싹 잘라 낸 철판을 두드리고 구부린 뒤 깎고 다듬는다. 흔한 조수 한 명 없이 그 작업이 끝없이 반복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쇠붙이들은 가는 줄기에 바람에 일렁이는 대나무와 꼿꼿한 자태를 드러낸 소나무, 꽃망울을 터뜨릴 듯한 매화로 거듭난다. 추상성 강한 한자의 서체로 변신한 철판에선 붓글씨의 힘찬 기운마저 느껴진다.

작가의 첫 철판 작품은 불과 6년 전 세상에 나왔다. 수십년간 한국화 작업을 해 오다가 “색다른 무언가를 해보고 싶다”는 욕구가 발동했다. 서울 청계천을 돌다 망치질을 거쳐 엿가락처럼 늘어나는 철이 눈에 들어왔다. 젊은 시절 세운상가의 용접공장에서 조수로 일했던 인연도 떠올렸다. 1990년대 미국의 시각예술대학에서 유학하며 겪은 도전 의식이 더해지면서 작품은 빛을 발했다.

작업실에 절단기와 망치, 용접기가 차근차근 들어서자 주변에선 이상한 사람 취급을 했다. 작가는 “철판 작업은 옛 그림을 낮춰 보기보다 새롭게 구현하자는 뜻”이라며 “일각에선 전통 한국화 전공자가 붓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불편함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틀린 게 아니라 다를 뿐”이라고 말했다. 작가의 개인전은 다음 달 9일까지 서울 종로구 소격동 학고재갤러리에서 이어진다. 철판으로 새긴 ‘반야심경’ 전문 260여자를 배경으로 해 질 녘 호숫가에 떠 있는 ‘반야용선(般若龍船)’도 만날 수 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1-15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