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이 즐거웠다면 괜찮아[웹툰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과정이 즐거웠다면 괜찮아[웹툰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입력 2022-09-15 17:30
업데이트 2022-09-16 02: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만화경 ‘오목왕’

이미지 확대
웹툰 ‘오목왕’
웹툰 ‘오목왕’
중국 요순시대에도 바둑을 뒀다는 기록이 남아 있을 정도로 바둑은 오랫동안 우리 곁에서 보드게임의 강자로 자리매김해 왔으나 누구나 쉽게 즐기기는 어려운 편이다. ‘두 집’을 만들면 살고 상대보다 많은 집을 얻으면 승리한다는 단순한 규칙임에도 말이다. 그러나 바둑판과 바둑알로 꼭 바둑만 두라는 법은 없지 않은가. ‘알까기’부터 ‘오셀로’까지 바둑판 위에서 흑백의 돌을 가지고 재미있게 놀 수 있는 게임은 아주 많다. 그중에서도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것이 아마도 ‘오목’일 것이다. 오늘 소개할 웹툰 ‘오목왕’은 바로 이 오목을 주요 소재로 삼아 ‘성장’에 관한 이야기를 편안하고 맛깔나게 풀어낸 작품이다.

●괴짜 선생과 오목부 아이들 성장기

어린 시절 부모 없이 할아버지 손에서 어렵게 자란 강구는 할아버지에게 배운 바둑으로 종종 동네 어르신들과 내기 바둑을 둬 배고픔을 해결하곤 했다. 바둑에 대한 재능으로 강구는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15세에 한국기원의 연구생이 돼 프로기사를 꿈꾼다. 그러나 세상일이 자기 뜻대로만 풀리지는 않는 법. 계속되는 연패와 절망 속에서 재능의 한계를 느낀 강구는 중학교 3학년 겨울 연구생의 길을 포기하고 스스로 한국기원을 나온다. 이후 강구는 ‘쓸데없는 실패 없이 돈을 벌 수 있는’ 9급 공무원이 되기로 하고 시험공부에 매진한다. 이렇게 주변과 상관없이 공무원 시험 준비만 하는 강구에게 ‘괴짜 선생’ 봉락이 다짜고짜 오목부 가입을 권한다. 한때 한국기원 연구생까지 했던 강구는 오목은 유치한 애들 장난 같다는 편견이 있었는데, 오목에 온갖 정열을 쏟는 오목부 고문 봉락 선생이 이해될 리가 없다. 하지만 결국 오목부에 가입하게 되고 그때부터 온통 무채색뿐이었던 강구의 인생은 서서히 다양한 색깔을 갖게 된다. 이야기의 주인공은 강구와 봉락 선생이지만 이 작품에는 매력적인 캐릭터들이 다수 등장한다. 강압적이고 폭력적이며 잘못된 인생관을 가진 아버지로부터 늘 1등을 강요받아 모든 것에 삐딱해진 해동, 그런 해동의 오랜 친구였으나 해동을 제치고 전교 1등이 된 이후부터 멀어지기 시작한 동주, 야구선수가 되는 것이 유일한 꿈이지만 재능을 인정받지 못해 야구부에 가입하지 못한 채 오목부에서 체력을 키우는 규창 등 개성 만점의 캐릭터들이 봉락 선생과 함께 각자의 어려움을 딛고 성장하는 이야기가 생생하고 담백하게 살아 숨 쉰다.

●성공한 삶이란 강박 벗어날 수 있길

우리는 어린 시절부터 무수한 목표를 향해 달려간다. 학창 시절에는 좋은 성적을 내야 하고 이후에는 좋은 대학, 좋은 회사에 가야 하고, 돈을 많이 벌고 힘 있는 자리를 차지해야만 한다고, 그것이 성공한 삶이라고 모두가 말한다. 그 레일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안 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리다가 결국 수많은 사람이 스스로를 패배자라고 낙인찍고 괴로워한다. 우리 사회의 슬픈 면모는 날로 높아지는 자살률로 현실에 반영되고 있다. 이런 우리 모두에게 봉락 선생은 말한다. ‘힘들고 지치면 조금 쉬라고. 불안해지면 그 불안감을 즐기며 놀라고. 그러다가 결과가 좋지 않아도 그 과정이 즐거웠다면 괜찮다’고 말이다. 총 30화에 후기 1화를 덧붙여 완결된 김경언 작가의 ‘오목왕’은 ‘만화경’ 앱을 통해 전편 무료로 볼 수 있으니 오목의 ‘무적수’처럼 결코 지지 않는 봉락 선생의 인생론을 함께 즐겨 보자.
백수진 한국만화영상진흥원 팀장
백수진 한국만화영상진흥원 팀장
백수진 한국만화영상진흥원 팀장

2022-09-16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