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아라가야 왕궁터 주방에 웬 소가야 토기?

아라가야 왕궁터 주방에 웬 소가야 토기?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06-10 22:30
업데이트 2021-06-11 01: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궁이·구들 등 취사전용 공간 확인
이웃 가야세력 교류 이해할 토기류도

이미지 확대
경남 함안 아라가야 왕궁터에서 확인한 취사전용 공간. 가운데가 아궁이, 왼쪽 큰 원이 물을 보관하는 집수정으로 추정된다. 일정 간격으로 뚫려 있는 중간 크기의 원은 외벽을 세운 기둥 위치로 보인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경남 함안 아라가야 왕궁터에서 확인한 취사전용 공간. 가운데가 아궁이, 왼쪽 큰 원이 물을 보관하는 집수정으로 추정된다. 일정 간격으로 뚫려 있는 중간 크기의 원은 외벽을 세운 기둥 위치로 보인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아라가야 왕궁터에서 취사전용 공간이 확인됐다. 당시 가야 세력 간 교류를 이해할 수 있는 토기류도 함께 나왔다.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경남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 289번지에 있는 ‘함안 아라가야 추정 왕궁지’ 발굴조사에서 취사전용 건물지를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경사진 기반암을 길이 11m, 너비 5m, 깊이 80㎝ 정도로 파내고 내벽을 설치해 취사 공간을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내벽은 길이 8m, 너비 3.5m, 높이 15㎝ 정도다. 황갈색 점질토를 1~2㎝ 두께로 다졌는데 열을 가해 단단하게 만드는 불다짐 기법을 사용했다. 취사시설은 동서로 길이 5m 정도로 비교적 큰 규모였다. 동쪽에는 아궁이를 두었고, 서쪽 배연부 사이에 구들을 설치했다. 다만 아궁이는 하단부만 남아 있어 정확한 규모와 형태는 파악할 수 없었다. 구들은 최대 길이 약 1m, 높이 약 50㎝의 평평한 돌을 놓았고, 외부를 회색 점질토를 발라 연기가 새어 나오지 않도록 했다. 구들 내부의 평평한 돌로 볼 때 측벽과 같은 방법으로 축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배연부는 깬돌을 가로로 눕혀 쌓아 만들었으며 연기가 잘 빠질 수 있도록 계단식으로 구축해 높이 차를 두었다.

취사시설 부지 외곽에 배연부와 가까운 곳에는 기반암을 원형으로 판 구덩이가 확인됐다. 연구소 측은 취사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기 위한 시설이라고 보고 있다. 건물지 내부에는 6세기에 볼 수 있는 원통모양그릇받침과 적갈색의 취사용 토기류가 출토됐다. 특히 원통모양그릇받침은 물결무늬 장식, 원형의 창 등이 있어 가야토기의 공통적인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라가야만의 속성인 둥근 옥 또는 새 모양 창과 소가야의 특징인 점줄무늬 장식과 한 쌍의 장방형 창도 확인됐다. 연구소 관계자는 “아라가야와 다른 가야 세력의 교류와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라고 설명했다. 함안 아라가야 추정 왕궁지 조사는 2018년부터 진행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1-06-11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