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영진위 “미국 영화라 지원 없다”…경계에 선 ‘미나리’

[단독]영진위 “미국 영화라 지원 없다”…경계에 선 ‘미나리’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02-10 10:56
업데이트 2021-02-15 17: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제작사 만들어” 이유...골든글로브는 “미국영화 아니다”

영화 ‘미나리’ 스틸컷. 판씨네마 제공
영화 ‘미나리’ 스틸컷. 판씨네마 제공
전 세계 영화제에서 61관왕을 달리며 미국 아카데미(오스카) 시상식 유력 후보로도 거론되는 영화 ‘미나리(사진)’에 관해 영화진흥위원회가 “아카데미 수상을 위한 지원 등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미국에 정착한 한국인 이야기를 다루고 배우들 역시 대부분 한국인이지만, 아카데미 기준으로 볼 때 한국영화로 볼 수 없다는 이유다. 미국 영화상인 골든글로브가 이 영화를 미국영화가 아닌 외국영화로 분류하며 일었던 논란에 이어, 미나리는 다시 한 번 국적 논란의 경계에 서게 됐다.

영진위 측은 10일 서울신문과 통화에서 “영화 ‘기생충’과 달리 ‘미나리’는 이번에 지원을 하지 않을 계획”이라면서 “윤여정을 비롯한 한국인 배우들 수상이 이어지는 상황이라 영진위 내부에서도 다소 아쉽다는 이야기가 나온다”고 전했다.

세계적인 영화상으로 꼽히는 아카데미는 매년 전 세계 영화 관련 기관에서 후보를 추천받는다. 우리나라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기타 공공기관인 영화진흥위원회가 이를 담당하며, 지난해 9월 한국 대표작으로 ‘남산의 부장들’을 정해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영진위는 2019년 후보작을 추천하는 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영화 배급사와 아카데미 수상을 위한 협력해 큰 효과를 봤다. 대상이 됐던 영화는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으로, 배급사 CJ ENM과 협의 팀을 구성하고 1억원 수준을 지원해 지난해 아카데미를 휩쓰는 쾌거를 거두는 데에 일조했다.

영진위 측은 이와 관련 “아카데미 기준 한국 추천작은 국내 영화제작사가 만든 국내 영화에 한한다”면서 “‘미나리’는 미국 영화제작사가 돈을 내고 미국인 감독이 만든 순수한 미국영화”라고 설명했다. 이런 시각이라면, ‘미나리’는 올해 하반기에 있을 국내 영화제에서도 상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앞서 미국 유력 영화상인 골든글로브는 ‘영화 속 대화의 50% 이상이 영어여야 한다’는 규정을 들어 ‘미나리’를 미국영화가 아니라 외국어영화로 분류했다. 영화는 이에 따라 작품상 후보에 오르지 못했고, 미국 내 각종 상을 20여 차례나 수상한 배우 윤여정의 연기상 후보 지명도 불발하면서 논란을 불렀다.

10일자 골든글로브 공식 홈페이지에도 ‘미나리’는 덴마크의 ‘어나더 라운드’, 프랑스·과테말라 합작의 ‘라 로로나’, 이탈리아의 ‘라이프 어헤드’, 미국·프랑스 합작의 ‘투 오브 어스’ 등과 외국어영화상을 놓고 경합 중이다.

영화 ‘미나리’는 1978년 미국 콜로라도 덴버에서 태어나 남부 아칸소 시골 마을에서 자란 정이삭(리 아이작 정) 감독의 자전적 영화다. 희망을 찾아 낯선 미국으로 온 한국 가족의 여정을 담은 작품으로, 제목 ‘미나리’는 한국인에게 익숙한 채소 이름에서 따왔다.

농장을 시작한 아버지와 새로운 직장을 구하게 된 어머니를 대신해 남매를 돌봐줄 할머니 순자가 온다. 그는 미나리 씨앗을 가져와 집 주변에 키우면서 “미나리는 어디서든 잘 자라”라고 말하는데, 이 대사는 한인들이 미국에서도 새로 시작할 수 있다는 희망을 상징하는 영화의 핵심 메시지다.

순자의 대사대로, 미나리는 현재 국적 논란을 떠나 각종 영화제 수상을 이어가고 있다. 10일 기준 131개 영화제에 지명돼 61개 상을 받았고, 순자 역의 배우 윤여정은 지난 8일 미국 워싱턴DC 비평가협회 시상식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으며 총 21관왕을 기록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