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대 암각화 주변은 ‘동물의 천국’

반구대 암각화 주변은 ‘동물의 천국’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7-29 17:34
업데이트 2019-07-30 00: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수리·황조롱이·각시붕어·버들치 등 반경 2㎞ 일대에서 495종 흔적 발견

이미지 확대
호랑이, 멧돼지, 고래 등 다양한 동물들이 새겨진 울산 울주 반구대 암각화 일대에서 천연기념물을 포함한 동물 495종의 흔적이 발견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호랑이, 멧돼지, 고래 등 다양한 동물들이 새겨진 울산 울주 반구대 암각화 일대에서 천연기념물을 포함한 동물 495종의 흔적이 발견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육지 동물과 바닷고기, 사냥하는 장면 등이 그려진 울산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국보 제285호)는 신석기와 청동기 시대 풍경을 그대로 보여 준다. 암각화에 담긴 273개 그림의 일부는 당시 인근에 살았던 동물들의 모습이기도 하다. 현재 반구대 암각화 일대에는 훨씬 더 많은 생명체가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 2월부터 1년 동안 9차례에 걸쳐 반구대 암각화 반경 2㎞ 지역을 조사한 결과 동물 495종의 흔적을 발견했다고 29일 밝혔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1995년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반구대 암각화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 각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천연기념물·자연사자원 공동조사단’을 구성해 조사에 나섰다.

천연기념물 독수리(제243-1호), 황조롱이(제323-8호), 솔부엉이(제324-3호), 소쩍새(제324-6호), 원앙(제327호) 등 조류가 35과 67종이었다. 천연기념물 수달(제330호)·노루 등 포유류가 8과 11종, 누룩뱀·참개구리 등 양서파충류가 5과 9종이었다. 이 밖에 각시붕어, 버들치, 참갈겨니 등 민물고기류를 9과 30종 찾았다. 상아잎벌레·팥중이 등 곤충이 93과 334종, 꽃게거미·한국흰눈썹깡충거미 등 거미류가 11과 34종, 노랑구슬노래기·돌지네 등 다지류가 8과 10종에 이르렀다.

강정훈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관은 “암각화로 남겼을 정도로 동물이 많이 살았던 곳이니만큼, 지금도 많은 동물이 살지 않을까 하는 궁금증에 조사를 시작했다”면서 “암각화 일대 지형 자체가 동물이 서식하기 좋은 장소라는 사실을 보여 주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이번 조사 결과를 세계 생물 다양성 정보기구(GBIF)에 알리고 보고서도 발간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07-30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