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선 아우라지서 벌집 모양 적석 유구 첫 발견

정선 아우라지서 벌집 모양 적석 유구 첫 발견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05-10 22:42
업데이트 2017-05-11 08: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 51개로 구성… 학계 비상한 관심

“中 랴오둥반도 청동기시대 무덤 닮아” 신라·한성백제시대 유물도 함께 출토

지난해 남한 최고(最古)의 청동 유물이 나온 강원도 정선 아우라지 유적에서 국내 처음으로 벌집 모양으로 돌을 쌓아 올려 만든 유구(遺構·건물의 자취)가 발견돼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강원도 정선 아우라지 유적에서 발견된 적석 유구. 공중에서 촬영된 왼쪽 사진에서 방 51개가 벌집 형태로 연결돼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 제공
강원도 정선 아우라지 유적에서 발견된 적석 유구. 공중에서 촬영된 왼쪽 사진에서 방 51개가 벌집 형태로 연결돼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 제공
세부 사진에서는 강돌을 촘촘하게 쌓아 올린 축조 형태를 엿볼 수 있다. 문화재청 제공
세부 사진에서는 강돌을 촘촘하게 쌓아 올린 축조 형태를 엿볼 수 있다.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정선군과 강원문화재연구소가 정선군 여량면 여량리 191번지 일원에서 발굴 조사를 진행하던 중 크고 작은 방 51개로 이뤄진 적석(積石·돌무지) 유구를 발견했다고 10일 밝혔다.

국내에서 이렇게 벌집 모양으로 방이 여러 개 붙어 있는 형태의 유구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유구는 강돌을 촘촘하게 쌓아 올려 축조했으며, 총길이는 40m, 폭은 20m로 측정됐다. 방 하나의 길이는 최소 1.6m에서 최대 4m, 너비는 최소 1.5m에서 최대 3m에 이른다. 가장 높은 돌벽은 1.5m로, 가장 아랫단에선 강돌을 길게 세워 단단히 보강한 흔적도 발견됐다.

석렬 안에서는 신라시대 굽다리접시인 대부배(臺附杯) 3점과 한성백제시대 토기인 단경호(短頸壺)와 토기 조각이 출토됐다. 이와 함께 청·백자, 상평통보, 돼지와 말의 뼈 등도 발견됐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형태의 유구라 조성 시기와 용도를 단정할 순 없지만 중국 랴오둥반도의 청동기시대 무덤과 비슷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권오영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는 “유구의 구조는 중국 랴오둥반도의 청동기시대 무덤과 비슷한데 청동기시대 유물은 나오지 않은 상태라 논의가 더 이뤄져야 한다”면서도 “이런 형태의 유구가 발견된 것은 올해 발굴 가운데 최대의 성과라고 볼 수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최종모 강원문화재연구소 실장은 “경주 신라 고분이나 서울 백제 무덤 등을 봐도 국내에서는 비슷한 형태의 유구를 찾을 수 없고 현재 출토된 유물도 삼국시대 것이라 아직 정확한 쓰임을 확인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정선 아우라지 유적은 지난해 3월부터 진행된 2차 발굴 조사에서 신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문화층의 유물이 출토돼 왔다. 집터와 고분 유구 160여기가 나온 상태로, 이 가운데 1기는 신석기시대 주거지, 62기는 청동기시대 주거지 유적으로 파악됐다. 따라서 오랜 기간 사람들이 거주한 지역으로 판단된다. 아우라지 유적은 정선군이 당초 관광단지를 건설하려 했던 곳으로, 2006년 1차 조사에서 남한강 수계에서는 최초로 신석기 주거 유적이 확인되면서 발굴이 이뤄져 왔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5-11 23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