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문학인이 받은 사례는

비문학인이 받은 사례는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6-10-13 22:56
업데이트 2016-10-14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회고록 6권 쓴 처칠…작년엔 여기자 수상

노벨 문학상은 1901년부터 해마다 전 세계의 작가 중 한 사람에게 수여한다. 특정한 작품이 수상 이유가 되는 경우도 있지만 상당수는 작가의 생애 작품 전체를 평가한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 대부분은 소설가이거나 시인, 극작가이다. 그러나 작가가 아닌 수상자도 있었다. 비(非)문인으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첫 사례로는 역사학자인 테오도어 몸젠(1902)이 있다. 철학자인 루돌프 오이켄(1908), 앙리 베르그송(1927), 버트런드 러셀(1950)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영국 총리로 정치인인 윈스턴 처칠(1953)은 6권 분량의 회고록 ‘제2차 세계대전’을 완간한 그해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인생은 B(Birth)와 D(Death) 사이의 C(Choice)의 연속’이라고 말한 프랑스 철학자 장폴 사르트르는 1964년 노벨 문학상에 선정됐지만 수상을 거부했다. 지난해에는 체르노빌과 2차대전의 참상을 논픽션 형식으로 다룬 벨라루스의 기자 출신 여성 작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가 수상해 화제를 모았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6-10-14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