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0년 전 인골·비파형 동검 썩지 않은 채 발굴

2500년 전 인골·비파형 동검 썩지 않은 채 발굴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9-08 23:04
업데이트 2016-09-09 01: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평창 대형 고분서 최초로 동시 출토

이미지 확대
무덤에서 비파형동검과 인골이 동시 출토된 모습. 문화재청 제공
무덤에서 비파형동검과 인골이 동시 출토된 모습.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 확대
비파형동검. 문화재청 제공
비파형동검.
문화재청 제공
강원 평창의 청동기시대 중기 무덤 유적에서 국내 최초로 피장자의 인골과 비파형동검이 동시에 출토됐다. 문화재청은 강원고고문화연구원이 평창군 평창읍 하리 240-4의 개인주택 신축 대지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해 길이 2.04m의 대형 석관묘에서 신전장(伸展葬·시신을 곧게 펴 매장하는 방법)으로 묻힌 인골과 비파형동검을 함께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비파형동검은 청동기시대 무기나 제기(祭器)로, 무덤이나 집터 등지에서 출토된다. 강원고고문화연구원은 “비파형동검이 인골과 함께 나온 건 지금껏 유례가 없다”며 “이번에 발굴된 인골은 보존 상태가 양호해 추가 연구를 통해 피장자의 키, 성별, 나이 등을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화장을 하지 않았기에 DNA 분석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골이 썩지 않고 비파형동검도 녹슬지 않은 이유는 무덤을 조성할 때 사용한 석회암 때문으로 추정된다”며 “피장자는 지역 사회의 유력자였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골과 함께 나온 비파형동검은 길이 26.3㎝, 최대 폭 3.8㎝ 크기다. 매장 당시 부러뜨려 묻은 것으로 짐작되며, 형태상 비파형동검에서 세형동검으로 변해 가는 과정의 과도기적 특징을 띠고 있다.

조사가 이뤄진 평창 하리 유적에선 석관묘 14기가 나왔으며, 그중 9기에서 매장부가 확인됐다. 인골과 비파형동검이 출토된 무덤 유적을 제외하면 모두 규모가 작은 편이며, 이들 무덤에선 발형 토기와 마제석검, 관옥, 토기 조각 등이 발견됐다. 강원고고문화연구원은 “출토 유물을 보면 하리 유적이 조성된 시기는 기원전 500년 무렵으로 판단된다”며 “청동기시대 시신의 매장 방법과 장례 풍습 등 선사시대 무덤 연구에 필요한 중요한 자료”라고 평했다. 문화재청은 9일 오후 2시 발굴 현장에서 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9-09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