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예술혼’ 부안 내소사 종 국보 됐다

‘고려 예술혼’ 부안 내소사 종 국보 됐다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3-12-26 23:55
업데이트 2023-12-26 23: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일신라 계승, 장식·조형미 탁월
보물 지정 이후 60년 만에 승격
범종 제작 기술·기법 연구에 중요

이미지 확대
부안 내소사 종
부안 내소사 종
고려의 기술력과 예술혼을 꽃피운 고려 후기 동종, 전북 부안 내소사 종이 국보가 됐다.

문화재청은 부안 내소사 종을 국보로 지정했다고 26일 밝혔다.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이후 약 60년 만의 국보 승격이다.

높이 103㎝, 입지름 67㎝ 크기의 동종은 고려 후기 동종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통일신라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고려의 기술력과 예술성을 잘 드러낸 문화유산으로 꼽힌다.

종의 꼭대기 부분 장식인 용뉴는 공중을 비행하듯 역동적이다. 아랫부분과 윗부분에는 덩굴무늬 띠를 둘렀고, 어깨 부분에는 연꽃 문양이 장식돼 있다. 몸체에는 천인상(天人像) 대신 삼존상을 부조로 배치했다. 이러한 균형 잡힌 비례와 아름다운 곡률의 몸체 등으로 뛰어난 장식성과 조형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다.

종을 만든 내력이 적힌 주종기(鑄鍾記)에 따르면 이 종은 한중서라는 장인이 1222년 약 700근(약 420㎏)의 무게로 만든 것으로 파악된다. 한중서는 13세기 전반에서 중엽까지 활동한 인물로 고령사 청동 북(1213년), 복천사 청동 북(1238년), 신룡사명 소종(1238년) 등 다수의 작품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문화재청은 “내소사 동종은 양식, 의장, 주조 등에서 우리나라 범종의 제작 기술과 기법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라며 “주종기 등을 통해 봉안처와 발원자, 제작 장인 등의 내력을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뛰어나다”고 국보 승격 배경을 설명했다.
정서린 기자
2023-12-27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