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증되지 않은 약물 스스로 주사 바이오해커 트레이윅 주검으로

검증되지 않은 약물 스스로 주사 바이오해커 트레이윅 주검으로

임병선 기자
입력 2018-05-03 10:06
업데이트 2018-05-03 1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상시험을 통과하지 않은 헤르페스 치료약을 청중 앞에서 스스로 주사했던 바이오해커 애런 트레이윅이 지난달 29일(이하 현지시간) 워싱턴 DC의 한 스파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28세 짧은 삶이었다.

바이오해킹이란 컴퓨터 해커들이 시스템을 해킹하듯이, 우리 몸을 구석구석 파악하고 면밀하게 분석하며 수치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라이프스타일과 식단을 바꾸고 수술, 허가받지 않은 치료법 등을 이용해 체질을 바꾸는 것을 궁극의 목표로 여긴다.

어센던스 바이오메디칼이란 바이오해킹 기업을 설립해 최고경영자(CEO)로 일했던 그의 죽음에 별다른 비행을 추측할 만한 증거같은 것은 없었다고 경찰은 밝혔다. 또 부검이 예정돼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지만 결과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고 영국 BBC는 전했다. 바이스 뉴스는 생전의 그가 따듯한 소금 물에 몸을 누이는 플로테이션 테라피 탱크 요법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자신의 회사가 후천성 면역결핍증(에이즈)와 헤르페스를 치유할 수 있는 “연구 성분”을 개발했다고 주장했지만 독자적인 연구를 통해 이를 증명받지 못했다. 지난 2월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의 보디해킹 콘에서 인터뷰를 갖던 도중 BBC 기자는 공중이 지켜보는 앞에서 자신의 다리에 허가받지 않은 자사의 시약을 주사한 행위에 대해 윤리적으로 옳은지 따졌다. 인터뷰 때에는 “연구 성분”이라고 얘기했던 그는 나중에 BBC 기자와 대화할 때는 “치료제”라면서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도 관심을 가질 만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픈 사람들을 마치 기니피그처럼 다루도록 부추기는 것이 윤리적으로 옳으냐는 BBC 기자의 추궁에 그는 “이런 사람들에게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은 ‘이런 약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고 말하는 일뿐”이라며 “그들은 선택의 여지가 없다. 우리 모두 그런 식으로 일이 풀리면 죽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고 말했다. 그의 위험한 행동은 바이오해킹 커뮤니티 안에서도 많은 우려를 낳았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