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거주 軍위안부 피해자 박유년 할머니 별세

미국 거주 軍위안부 피해자 박유년 할머니 별세

입력 2015-08-08 21:33
업데이트 2015-08-08 2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존자 47명으로 줄어

미국에 거주하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박유년 할머니가 한국시간으로 8일 오전 3시25분께 별세했다고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이날 밝혔다.

정대협과 여성가족부 등에 따르면 1922년생으로 향년 93세인 박 할머니는 평소 폐와 심장에 물이 차는 증세를 보이는 등 건강이 좋지 않아 오랜 기간 병원에 입원했으며, 올해 들어서만 4차례나 응급실에 입원해 위험한 고비를 여러 번 넘겼다. 그러나 최근 병세가 악화해 사망 직전까지 2주간 아들 집에서 마지막 시간을 보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 1993년 8월 정부에 등록된 박 할머니는 19세이던 1941년 친구와 같이 부산에 놀러 갔다가 일본군 간호원으로 가면 돈을 많이 벌 수 있다는 친구의 말에 속아 일본인에게 소개돼 한국 여성 6명과 함께 일본 관동으로 동원돼 일본군 위안부 생활을 강요받았다.

이후 광복 직전 싱가포르로 강제이동돼 위안부 생활을 강요당하다 일본 패전 후인 1945년에야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귀국 후 부산에서 생활하다 경기도 파주로 옮겨 산나물을 팔아 생계를 유지했다.

2007년 이후에는 양아들이 생활하는 미국 애리조나주 매사추세츠로 거주지를 옮겨 양아들 부부와 함께 생활해왔다.

발인은 12일(현지시간) 오전으로, 현지 유족의 자택 공원에 안장될 예정이다.

박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면서 정부에 등록된 군 위안부 피해자 283명 가운데 생존자는 47명으로 줄었다. 올해 들어서만 피해자 8명이 세상을 떠났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