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살인적인 임대료 사라지는 대학로

살인적인 임대료 사라지는 대학로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5-03-18 18:14
업데이트 2015-03-19 09: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문화지구’ 지정으로 땅값 치솟아… 대관료 두 배 올라 제작비의 절반 이상… 소극장 30곳 문닫을 판

“대학로가 ‘문화지구’로 불리는 건 이를 악물고 버티고 있는 연극인들이 있어서입니다. 하지만 연극인들이 일궈 놓은 대학로는 이제 건물주와 대기업의 차지가 됐죠. 전 재산을 들여 극장을 꾸려도 건물주가 나가라고 하면 언제든 짐을 싸고 나갈 수밖에 없는 게 연극인들의 현실입니다.”(대학로 A소극장 대표) 최근 28년 역사의 대학로극장이 폐관 압박을 받으면서 대학로 연극계에 퍼졌던 위기감에 불이 붙었다.

‘대학로 연극 위기론’은 하루이틀 이야기가 아니지만 최근 대학로의 ‘터줏대감’이었던 소극장들이 잇달아 사라지면서 우려는 현실로 드러났다. 2004년 대학로가 문화지구로 지정된 지 10년이 지나 연극인들은 문화지구를 원점에서 다시 논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 종로구 이화사거리에 위치한 대학로극장은 급격한 임대료 인상을 감당하지 못해 문을 닫을 지경에 놓였다. 1987년 문을 열어 1990년대 최고 히트작인 ‘불 좀 꺼주세요’를 올린 곳이다. 앞서 ‘품바’로 유명한 상상아트홀 2개 관은 지난 1월 문을 닫아 완전히 헐렸고, 2000년 문을 연 김동수플레이하우스도 지난 1월 이후 운영되지 않고 있다. 정대경 한국소극장협회 이사장은 “지난해 말부터 최근까지 최소 8개 소극장이 문을 닫았거나 폐관될 예정”이라면서 “30여개 소극장도 손 털고 나갈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극인들은 대학로의 문화지구 지정이 ‘양날의 검’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서울시와 대학로는 2004년 연극의 활성화를 위해 혜화로터리에서 이화사거리까지의 1.5㎞ 구간을 문화지구로 지정했다. 공연장이나 전시장이 들어선 건물은 고도 제한이 5층에서 6층으로 완화됐고 융자금을 지원받았다. 이로 인해 2004년 57개였던 극장은 2014년 말 146개로 급증했다. 문제는 연극의 메카가 거대한 상권이 됐다는 것이다. 프랜차이즈 커피숍과 레스토랑이 늘었고 대형 뮤지컬 공연장과 대기업 극장이 들어섰다.

치솟는 땅값은 극장의 임대료와 대관료 상승으로 이어졌다. 대학로 100석 안팎 소극장의 하루 대관료는 30만~70만원 선이다. 임선빈 서울연극협회 사무국장은 “10년 전과 비교해 두배가량 올랐으며 연습실 대관료도 덩달아 올랐다”고 말했다. 이는 연극 제작비 상승이라는 ‘도미노 효과’로 이어졌다. 두달간 연습해 한달 공연을 할 경우 극장 대관료는 1000만원 이상, 연습실 대관료는 500만원 안팎이다.

임 사무국장은 “배우 개런티와 인건비를 최저생계비 이하로 낮춰도 대관료가 작품 제작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고 말했다. 1석당 2만~3만원인 객석의 70% 이상을 유료 관객으로 채울 정도로 절정의 흥행을 기록한다 하더라도 ‘본전치기’에 불과하다. 오세곤 극단 노을 예술감독은 “코미디물이나 몇몇 인지도 있는 연극만 살아남을 뿐 실험적인 창작극은 사라지고, 연극 창작 기지로서의 대학로 생명력도 잃어 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연극인들도 자구책을 찾아 나서고 있다. 혜화동로터리 북쪽, 삼선교 등 인근 지역으로 터를 옮겨 ‘오프 대학로’를 일구는가 하면 협동조합 방식의 극장 운영, ‘극장 밖의 연극’ 등 대안을 모색하기도 한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문화지구의 첫 단추부터 다시 끼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연극인들이 임대료와 대관료의 압박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에서 창작을 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오 예술감독은 “문화지구를 지정하기만 했지 문화지구를 가꿔 나갈 정책은 처음부터 부재했다”면서 “시장논리에 의해 사라질 수밖에 없는 연극을 지켜 나갈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이사장은 “공연예술의 기초인 소극장 연극의 공공성을 인정하는 데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 사진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03-19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