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과거·현재 공존 북촌 가치 제대로 복원하고파”

“과거·현재 공존 북촌 가치 제대로 복원하고파”

입력 2014-09-16 00:00
업데이트 2014-09-16 03: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계동 100년 100곳 선정… 17일 ‘공간잇기’展 여는 서준원씨

이미지 확대
서준원씨
서준원씨
“‘한옥마을 주변 아담한 상점이 많은 관광지’는 진짜 북촌이 아니에요. 조선시대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계동·원서동 길부터 독립운동가 여운형 선생 집터까지 100년 역사가 고스란히 숨 쉬고 있는 곳이 북촌이죠.”

‘환경·조경 디자이너’로 제법 잘나가던 서준원(36·여)씨는 지난해 말 미련 없이 GS건설에 사표를 던졌다. 퇴직금을 홀랑 털어 북촌의 100년 역사를 복원하는 ‘공간잇기’ 프로젝트에 나선 서씨는 15일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계동이란 공간의 가치를 제대로 복원해 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조선시대 국가 업무를 맡아 보던 관아와 별궁, 권문세족의 집이 공존하던 북촌은 오늘날 행정구역상 서울 종로구 계동으로 분류된다.

서씨는 프로젝트 공동 기획자인 동갑내기 강다원(여·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씨와 함께 계동에 머물고 있다. 이들은 역사적으로 의미 깊은 계동의 공간 100곳을 선정하기 위해 토박이들을 끊임없이 만나고 다녔다. 서씨는 “처음엔 외지 사람 보듯 낯설어하던 분들도 이젠 달려 나와 반겨 준다”고 전했다. 그렇게 보고, 듣고, 공부한 내용은 일러스트와 지도, 사진, 영상 작품으로 재탄생했다. 계동 사람과 이야기를 담은 작품들은 17일부터 계동길 물나무 마당 갤러리에서 ‘공간잇기, 계동’이란 이름으로 전시된다.

그가 계동에 꽂힌 계기는 남달랐다. 1993년 미국 유학길에 올라 2002년 뉴욕의 파슨스디자인스쿨을 졸업하기까지 미국에 머물 때 한옥에 매료됐다. 타지 생활에 익숙해질 무렵 서씨가 한국으로 돌아온 까닭은 ‘한옥의 매력’에 빠졌기 때문. 그는 “유학 시절 학교 선생님과 친구들이 한옥에 대해 물으면 아는 게 없어 우물쭈물했다”면서 “1년을 휴학하고 한국에 나와 한옥문화원을 들락거리고 전국 한옥을 훑었다”고 말했다. 서씨는 안과 밖의 구분이 없는 한옥의 철학에 반했다고 털어놨다. 여름엔 시원한 마루가 있고, 겨울엔 따뜻한 방이 있으며, 먼 산과 시냇물을 정원으로 품을 수 있는 한옥 구조는 신선한 충격이었다.

한국으로 돌아온 그는 서울대 환경대학원에서 환경조경을 공부했다. 이때부터 현대화나 재개발만을 좇는 이들에게 수백년 전부터 내려오는 ‘옛것’의 가치를 어떻게 전달할지 고민했다. 공간잇기 프로젝트는 이런 고민의 연장선에 있다.

서씨는 “두둑한 월급봉투는 두 번 다시 만질 수 없겠지만 ‘공간’의 역사적 가치에 관심을 두는 사람이 많아진다면 그걸로 만족한다”며 “계동에서 첫발을 내디딘 공간잇기 프로젝트는 다른 지역에서 계속 이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4-09-16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