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침묵의 공장

신간, 침묵의 공장

입력 2013-04-27 00:00
업데이트 2013-04-27 12: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침묵의 공장 = 강명관 지음.

정부의 지원이 늘어나면 죽은 인문학을 되살릴 수 있을까? 부산대 한문학과 교수인 저자는 고개를 젓는다.

저자는 오히려 ‘인문학의 위기’를 가져온 원인을 자본과 정부의 개입에서 찾는다.

대학이 자율적 연구보다는 연구비, 즉 돈을 따내기 위한 타율적 연구와 연구 계획서에 몰두하는 곳이 되고 말았다는 것이 저자의 진단이다.

그래서 지성의 상아탑이라는 대학을 자본과 국가의 이익에 들어맞는 결과물만 기계처럼 찍어내는 공장에 빗댄 저자의 비유는 적절하면서도 동시에 서글프다.

저자는 연구자들을 돕겠다며 국가가 약속하는 ‘지원’은 결국 자본과 결탁해 이들을 철저히 감시하고 조종하는 체제를 만드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강조한다.

저자는 “인문학적 사유는 기계처럼 찍어낼 수 없고, 구조에 의해 짜 맞춰질 수도 없다. 그것은 우리가 불온한 손길로 저항성과 비판성을 담아낼 때만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천년의상상. 132쪽. 1만1천원.

▲시골과 도시 = 레이먼드 윌리엄스 지음. 이현석 옮김.

영국의 소설가이자 문화비평가인 저자는 사람들이 자본주의를 비판하면서 치유의 장소로 시골을 그리는 풍조를 조목조목 반박한다.

저자는 고전 텍스트들을 분석해 과거의 시골이 지배계급의 폭력적 침탈에 신음한 장소라는 점을 지적하며 시골을 이상화하는 것은 역사적 왜곡이라고 주장한다.

아울러 도시에서 진행 중인 많은 유의미한 변화를 놓치는 것은 정치적으로 위험한 행위라고 지적한다.

문화연구의 새 장을 연 저자의 대표작이다.

나남. 648쪽. 3만2천원.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