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릿고개 이겨내던 동강의 전통음식

보릿고개 이겨내던 동강의 전통음식

입력 2012-04-19 00:00
업데이트 2012-04-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BS1 ‘한국인의 밥상’

팥적, 수수노치, 원반죽, 꼴뚜국수, 나물국죽…. 한글로 된 음식 이름인데 정체를 짐작하기란 쉽지 않다. 보릿고개를 이겨내던 강원도 동강 일대의 전통음식이다.
이미지 확대
강원도 동강 일대의 전통음식에는 보릿고개를 이겨낸 오지마을 사람들의 지혜가 담겨 있다. KBS 제공
강원도 동강 일대의 전통음식에는 보릿고개를 이겨낸 오지마을 사람들의 지혜가 담겨 있다.
KBS 제공


KBS는 19일 오후 7시 30분 ‘한국인의 밥상’에서 ‘거친 음식의 재발견 - 동강의 보릿고개 밥상’ 편을 방송한다.

아직도 마을에 가려면 산길을 지나 줄배를 타고 들어가야 하는 영월 가정마을. 50년 전 배를 타고 시집 온 김연자 할머니가 구워내는 팥적(팥을 불려 껍질을 벗겨낸 뒤 지진 부침개)과 수수노치(수수쌀을 빻아 반죽하고 나서 꿩고기와 숙주나물, 무채를 한데 섞어 속을 만들어 먹는 전병) 등 오지마을의 보릿고개 시절 이야기와 자연 밥상을 들여다본다.

동강 상류에 있는 영월군 문산리 뼝창 마을. 이곳에서는 그릇 안에 미끼를 넣고 구멍을 한 개만 뚫고서 밀봉하는 방법으로 물고기를 잡는다. 4~5월이 한창인 퉁가리는 한번 찔리면 ‘굿을 해도 낫지 않는다.’는 치명적 가시가 있다. 그런데 그 맛은 웬만한 민물고기와 비길 수 없다. 퉁가리로 원반죽이라는 음식을 해 먹는다. 물고기를 얇게 저며 밀가루와 함께 반죽하면 적은 양의 물고기로도 배불리 먹을 수 있는 보릿고개 별미다.

지천으로 피어나는 나물은 주린 배를 채워 주던 봄의 선물이다. 질창구(지칭개)를 비롯해 봄이면 가장 먼저 나온다는 냉이와 갖은 나물에 물을 넣고 콩가루를 섞어 그 양을 늘려 먹었던 나물국죽도 있다. 전라도 새댁이 무서운 강원도 시어머니를 만나 야단맞아 가며 하루 종일 빻아야 겨우 밥상에 올릴 수 있었던 보릿고개 음식은 이양자 할머니가 소개한다.

특히나 영월 아낙들에게 소중한 양식이 되었던 메밀을 빼놓을 수 없다. 권산옥 할머니는 허기진 아이들의 배를 채우려고 쌀 대신 메밀을 갈아 국수를 만들었다. 메밀껍질까지도 국수로 만들다 보니 국수 가닥이 꼴뚜기처럼 시커멓고 못생겼다. 지긋지긋해서 꼴도 보기 싫다고 지어진 이름이 꼴뚜국수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2-04-19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