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속 ‘숨은 의미’ 찾기

일상 속 ‘숨은 의미’ 찾기

입력 2012-03-17 00:00
업데이트 2012-03-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英 개념미술 선구자 마틴 개인전

두 가지 점이 눈길을 끈다. 일단 그림이 매우 친절하다. 글자를 큼지막하니 그려놔서다. 그림을 들여다보고 이게 뭘까, 알쏭달쏭 고민할 필요가 없다. 아트에는 정직하게 ‘ART’라 써놨고, 페이크에도 정직하게 ‘FAKE’라고 써놨다. 모든 작품이 그렇다. 은유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1대1 대응 상태다.

이미지 확대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
다른 하나는 글자와 함께 그려진 도상들이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글자들은 그나마 쓰이는 단어에 따라 바뀌는데 도상들은 그림마다 반복된다.

영국 개념미술의 선구자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71)의 개인전 ‘단어, 이미지, 욕망’이 4월 29일까지 서울 사간동 갤러리현대에서 열린다. 2007년 이후 작업한 최신작이다. 작가는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는 쪽이다. “가장 단순한 일반적인 사물, 자칫 놓쳐버릴 수 있는 일상 같은 곳에서 의미를 일깨워 내고 싶었다.”고 말했다. 자신을 마술사에 비유하기도 했다. “기교, 비밀, 눈속임 같은 것이 공개되면 마술은 시시해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다시 마술에 탄복합니다. 회화도 마찬가지입니다. 작가와 관람객은 캔버스 위 환상을 실제처럼 여긴다고 합의합니다. 그게 바로 회화의 매력이지요.” 그 합의를 날것 그대로 드러내 보이는 셈이다.

작가는 색깔, 활자, 도상 같은 것도 엄격히 제한된 범위 내의 것만 쓴다. 특히 사물 도상의 경우 일정한 규칙의 모양새를 갖춘 대량 생산품만 쓴다. 작가는 이를 언어생활에 비유했다. “사전에는 수천 단어가 있지만 우리가 실제 쓰는 단어는 몇 가지 되질 않아요. 대개는 고만고만한 단어를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미묘한 의미의 차이를 만들어 내지요. 제 작품이 의도하는 바도 바로 그것입니다.” 관계성을 보라는 것이다.

마틴은 대학교수로 재직하면서 데미안 허스트, 트레이시 에민 등 1990년대 등장한 ‘젊은 영국 예술가’(Young British Artists·yBa) 그룹을 길러 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02)2287-3500.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3-17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