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도 경계획정 대비해 학술적 준비해야”

“이어도 경계획정 대비해 학술적 준비해야”

입력 2012-03-13 00:00
업데이트 2012-03-13 10: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충석 이어도연구회 이사장 9월 국제학술회의 개최

“이어도는 해양법적으로도, 역사적으로도 제주 해역입니다.”

이어도연구회 이사장인 고충석 전 제주대 총장은 13일 연합뉴스와 전화 인터뷰에서 “제주 사람들이 부르는 민요, 신화, 역사 문헌 등을 검토해보면 이어도가 제주 해역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면서 중국과의 EEZ(배타적 경제수역) 경계획정 협상에 대비해 자료 수집 등 학술적 차원에서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제주도 사람들에게 이어도는 현실의 고달픔과 망자에 대한 슬픔을 달래는 희망의 섬이었다”면서 “제주도 사람들은 고기를 잡으러 바다로 나갔다 돌아오지 않는 남편과 아들이 이어도에서 복락을 누리며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최근 중국이 이어도의 관할권을 주장하고 나선 것에 대해 고 이사장은 “이어도를 분쟁 지역으로 만들려는 것인지, EEZ 경계를 지을 때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카드로 활용하려는 것인지 중국의 의도를 먼저 간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 이사장은 “중국과 바다를 접한 나라가 14개국 정도 되는데 중국은 이들 국가와 모두 영토 분쟁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이 국제사회의 존경을 받으려면 대국적으로 관용이 있어야 하는데 골목대장 같은 짓을 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면서 “최근에는 ‘중국해’(中國海)라는 선전 가요까지 퍼트리고 있다”고 전했다.

’쑤옌자오(蘇巖礁·이어도의 중국명)가 뻗어나간 화하(중국문명)’(蘇巖礁乃延伸的華夏)이라는 가사로 시작하는 노래 ‘중국해’에는 센카쿠 열도(尖閣列島), 서사군도(西沙群島·파라셀 제도) 등 국제적으로 중국이 영토 분쟁을 벌이는 지명들이 등장한다.

이 노래는 중국 포털사이트 시나닷컴(중국명 新浪網)에 의해 올 1월 중국 최고의 홍가(紅歌·선전 가요)에 선정되기도 했다고 고 이사장은 전했다.

사단법인 이어도연구회는 이어도 연구를 위해 2007년 설립된 최초의 민간단체로 연구저널 발간, 세미나·발표회 개최 등 다양한 활동을 펴고 있다.

최근 이어도를 종합적으로 다룬 개괄서 ‘이어도 바로 알기’를 펴낸 데 이어 오는 9월에는 대만에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회의에는 한국을 비롯해 대만, 필리핀, 베트남, 싱가포르 등 중국과 바다를 접한 아시아 국가 학자들이 대거 참석할 예정이다.

고 이사장은 “중국과 영토 분쟁을 빚는 나라의 학자들과 연대해 해양 영토 분쟁에 대한 패러다임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