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노벨문학상 발표] 고은 시인, 자택서 두문불출

[2011 노벨문학상 발표] 고은 시인, 자택서 두문불출

입력 2011-10-07 00:00
업데이트 2011-10-07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단 “체계적 번역 지원 절실”



6일 오후 8시 경기 안성시 공도읍 마정리. 고은(78) 시인의 자택 앞에 모여 있던 마을 주민들은 고 시인이 노벨 문학상 수상에 실패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주민 양기철(53)씨는 “수상 결과가 나오기 1시간 전에 (고은) 선생님 집에 들렀는데 차분하게 결과를 기다리고 계셨다.”면서 “올해는 꼭 좋은 소식을 기대했는데 너무 안타깝다.”고 말했다. 고 시인은 언론의 취재 요청을 모두 거절한 채 집 밖으로 나오지 않았다.

고 시인은 2005년부터 해마다 노벨 문학상 수상 후보로 거론돼 왔다. 하지만 올해 문학상이 스웨덴에 돌아가면서 한국 문학은 또다시 내년을 기약하게 됐다.

문단 안팎에서는 한국 문학 세계화의 고질적인 걸림돌인 번역 문제에 국가가 좀 더 체계적으로 신경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주연 한국문학번역원장은 “번역원이 올해 겨우 출범 10주년을 맞는 등 한국 문학은 이제야 세계 문학 시장에 얼굴을 내밀고 있다.”며 “이런 형편에서 고은 선생이 노벨상 후보로 거론된다는 점만으로도 사실 대단한 일”이라고 말했다.

한국문학번역원은 지금까지 28개 언어권에서 486종의 출간을 지원했다. 1945년 무렵부터 2만여종의 작품을 해외에 출간한 일본에 비하면 걸음마 단계다.

김종회 한국문학평론가협회장은 최근 해외에서 큰 화제를 모은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에서 노벨상 수상 가능성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외국에서 우리 소설의 우수성을 인정받으려면 한국적인 부분과 함께 인류의 보편적 정서를 동시에 담아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효환 대산문화재단 사무국장은 “한국 문학이 세계 문학의 일원으로 위상이 높아진 데는 고은 시인의 역할이 컸다.”면서도 “앞으로 고 시인만을 바라볼 게 아니라 깊이 있는 텍스트의 생산, 더욱 체계적인 번역, 세계문학과의 면밀한 교류 등 저변 확대 노력이 절실하다.”고 주문했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10-07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