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중국인 나이키 신발 불태우고, 일본 무지 칭찬한 까닭(종합)

중국인 나이키 신발 불태우고, 일본 무지 칭찬한 까닭(종합)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1-03-25 17:52
업데이트 2021-03-25 17: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과 유럽의 패션 브랜드들이 인권 탄압 의혹받는 신장자치구에서 생산되는 면을 쓰지 않는다고 하자 중국 네티즌 분노

중국 네티즌이 나이키 운동화를 불태우는 사진. 웨이보 캡처
중국 네티즌이 나이키 운동화를 불태우는 사진. 웨이보 캡처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 사용자들이 나이키 운동화를 태우는 영상을 올렸다고 미국 인사이더가 25일 보도했다.

이는 나이키사가 위구르족이 사는 신장 자치구에서 ‘강제 노동’을 우려하는 글을 웨이보에 올렸기 때문이다. 나이키는 미국이 인권 침해 우려를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는 신장 자치구에서 생산된 면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밝히자 중국 네티즌들은 격분했다.

나이키사의 신장 자치구에 대한 웨이보 글을 언제 올렸는지 날짜가 명시되지 않았지만 유럽연합(EU), 미국, 영국, 캐나다 등에서 이번 주부터 신장자치구에 대한 인권탄압을 이유로 제재를 시작했고 중국도 보복에 나섰다.

나이키사의 웨이보 게시물은 “우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강요 노동에 대해 우려하며, 나이키는 신장자치구에서 생산된 어떤 재료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약속한다”는 내용이다.

또 중국 공급자로부터 신장자치구의 위구르족과 같은 다른 소수민족의 노동력 착취가 일어나지 않는지 항상 확인한다고 덧붙였다. 이슬람교를 믿는 위구르족이 주로 사는 신장자치구는 분리독립 운동으로 인해 항상 중국 당국이 관심을 두고 있는 지역으로 고도의 통제와 감시가 이뤄진다.

미국 등은 중국이 위구르족을 강제 수용시설에 가두고 인권 탄압을 한다고 지적하지만, 중국 외교 당국은 위구르족에게 직업 교육 등을 한다는 입장이다.
무슬림 활동가들이 25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중국 대사관 앞에서 이슬람교에 대한 탄압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무슬림 활동가들이 25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중국 대사관 앞에서 이슬람교에 대한 탄압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100만명 이상의 위구르족이 수백 개의 수용시설에 2016년부터 강제 수용됐다고 미국은 비판했다. 웨이보에서는 약 6시간 만에 나이키사의 위구르족 관련 게시물에 100만개 이상의 댓글이 달렸다.

중국 네티즌들은 나이키사에 게시물이 역겹다며 이 땅에서 떠나라고 성토했다. 나이키의 에어 조단이나 에어포스 원을 태우는 영상은 10만회 이상 공유되기도 했다.

한 중국 웨이보 사용자는 “내 나이키 제품을 모두 태웠다”면서 “이것은 국가 자존심 문제로 우리는 모욕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이키는 중국에서 경매 등을 통해 원래 판매가보다 훨씬 비싼 가격에 재판매될 정도로 인기를 누렸다. 나이키뿐 아니라 스웨덴의 패션 브랜드 H&M도 중국 네티즌들의 공격 대상이 됐다.

아이다스, 갭, 휠라, 뉴발란스, 자라, 언더아머 등도 신장 자치구에서 생산된 면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웨이보 게시물을 올리면서 중국 네티즌들의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반면 일본의 무지는 신장 면을 계속 사용하겠다고 밝히면서 중국 네티즌들로부터 ‘무지의 생존 본능’이란 찬사를 얻고 있다.

중국과 미국의 관계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전쟁을 2018년 일으킨 이후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최근 알래스카에서 중국과 미국의 외교 책임자들이 회담을 가졌지만 분위기는 알래스카의 냉기만큼이나 살벌해 한시간여 동안 관례를 깨고 상대방의 허물을 헐뜯는 장으로 마무리됐다. 미국은 중국의 신장자치구 등에서 벌어지는 인권 문제를 언급하자 중국 측에서는 내정 간섭을 말라면서 발끈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