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단 탈출 러시

수단 탈출 러시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3-04-24 00:06
업데이트 2023-04-24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 각국, 자국민 구출 작전

美, 특수부대 등 투입 신속 작전
佛·네덜란드·요르단 등 대피 행렬
英·日 군용기 인근 지부티 대기

수단, 일시 휴전에도 총성 계속

이미지 확대
사우디 “외국인 등 157명 탈출”
사우디 “외국인 등 157명 탈출” 사우디아라비아 군인들이 22일(현지시간) 군벌 간 충돌로 인한 내전이 9일째 이어지고 있는 수단에서 무사히 구출돼 제다에 도착한 사우디 국민들에게 초콜릿과 꽃을 나눠 주고 있다.
제다 SPA·AFP 연합뉴스
수단 군벌 간 무력 충돌이 9일째 계속된 가운데 미국,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외교관과 민간인이 처음 수단을 빠져나왔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23일 성명에서 “미국 국무부는 수단 하르툼 주재 대사관의 운영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모든 미국 직원과 부양가족을 안전하게 대피시켰다”며 “수단 내 미국인들이 안전을 위한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계속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군은 지난 22일 새벽 미 특수작전부대 100여명과 치누크 헬기 3대를 투입해 자국민 70여명을 구조했다. 이들이 수단 인접 국가 지부티와 수단 수도 하르툼의 지상에 머문 시간은 한 시간이 채 되지 않았다.

프랑스 외교부도 이날 성명을 내고 수단에서 ‘신속 대피 작전’으로 자국민과 외교관을 대피시켰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앞서 사우디아라비아는 지난 22일 수단에 있던 자국민과 외국인 등 157명을 제다로 대피시켰다고 밝혔다. 네덜란드도 다른 나라와 함께 자국민 대피를 시작했고 요르단과 이집트, 튀르키예도 자국민 대피에 나섰다. 영국과 일본 등은 자국민 철수를 위해 군용기를 지부티 등 인근 국가에 대기시켜 놨다. 하르툼공항은 이미 폐쇄된 상태다.

이번 무력 충돌은 30년 독재자 오마르 알바시르 전 대통령이 대규모 민주화 시위로 물러난 뒤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군부 1·2인자인 수단 정부군의 압델 파타 부르한 장군과 신속지원군(RSF)의 수장 무함마드 함단 다갈로 사령관이 군 통수권을 두고 다투면서 벌어졌다. 양측이 지난 15일 무력충돌을 시작한 뒤 거의 매일 휴전 합의와 번복을 반복하다가 지난 21일부터 72시간 동안 금식성월 라마단 종료를 기념하는 명절 ‘이드 알피트르’ 기간을 맞아 휴전에 합의하면서 이날 대피가 가능해졌다.

휴전 이후 전투는 잠시 소강상태에 접어들었으나 수단 전역에서 총성이 계속 이어지는 상태라고 알자지라가 보도했다.
최영권 기자
2023-04-24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