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는 어디에 있나” 에르도안 향한 분노

“국가는 어디에 있나” 에르도안 향한 분노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3-02-10 01:54
업데이트 2023-02-10 01: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조 지연·지진세 등 비판 확산 속
사흘 만에 현장 찾아 “대비 불가능”


이미지 확대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도대체 국가는 어디에 있습니까? 그(대통령)는 지진이 난 뒤 이틀 동안 어디에 있었나요?”

연쇄 강진 피해를 입은 튀르키예 동부 말라티야에 사는 사비나 일리나크는 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이렇게 말했다. 눈 덮인 건물 잔해 속에 있는 그의 어린 조카들은 생사조차 확인되지 않고 있다.

강진 발생 후 구조작업 지연 등 초동 대처 실패와 ‘지진세’(특별통신세)의 불분명한 용처, 부실공사 책임론 등이 불거지며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사진) 튀르키예 대통령에 대한 분노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튀르키예 제1야당인 공화인민당 케말 클르츠다로을루 대표는 이날 “정부가 지방 당국과 협력하지 않고 오히려 비정부기구(NGO)의 구조를 더디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책임져야 할 사람이 있다면 에르도안”이라고 말했다.

1999년 1만 7000명이 숨진 이즈미트 지진 이후 도입된 ‘지진세’의 불분명한 용처 문제도 불거졌다. 튀르키예 정부는 지진세로 880억 리라(약 5조 9000억원)를 걷었다고 공식 발표했다. 현재 화폐가치로 환산하면 20년간 거둔 실제 세수는 9배가 넘는 6826억 리라(45조 8100억원)가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와 관련해 독일 언론들은 “지진세로 조성된 자금은 도로와 철도를 까는 데 뿐만 아니라 국제통화기금(IMF)의 대출 상환에도 사용됐다”는 메흐메트 심세크 전 튀르키예 재무장관의 말을 전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지진 발생 사흘 만에 남부 하타이주 등 피해 지역을 방문해 “부족한 점이 있지만 현재 상황은 명백하다”며 “이렇게 큰 재난에 준비돼 있기는 불가능하다”고 발언해 빈축을 샀다.

2014년부터 대통령으로 장기 집권 중인 에르도안은 오는 5월 14일 대선에서 연임을 노리고 있다.
최영권 기자
2023-02-10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