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농대 여자’ 유행

日 ‘농대 여자’ 유행

이석우 기자
입력 2015-05-20 23:32
업데이트 2015-05-20 23: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농학계열 대학 진학 43%로 늘어… 건강·웰빙 열풍으로 관심 높아져

일본 대학 농학 계열에 여학생 비율이 해마다 가파르게 늘고 있다.

최근에는 ‘노케조’(농학 계열 여자)”라는 신조어가 일본 대학생과 대학 관계자들 사이에 유행하는 등 여학생들의 진출이 늘면서 농학계열이 남학생들만의 영역이라는 건 옛말이 됐다.

20일 요미우리신문 인터넷판에 따르면 일본 전국 각 대학 농학과에 지난 10여년 동안 여학생들의 진학이 꾸준히 늘어 여학생을 찾아보기 힘들었던 농학계가 이제 여초 현상을 코앞에 두고 있게 됐다.

예전에는 촌스럽고 우악스러운 이미지여서 일반적으로 도시풍을 선호하는 여학생들의 기피 대상이던 농학계열이 선호 대상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 문부과학성 조사에 따르면 1989년 20%였던 일본 전국 농대의 여학생 비율은 2014년 43%를 훌쩍 넘어섰다.

신문은 “생명”과 “자원” 등의 이름이 붙는 농학계열 학과들이 대세가 된 배경으로 사회적 변화를 꼽았다. 식품, 건강 등 생활과 연결된 주제를 다루는 농학계열 학부가 개설·확충되고, 사회적으로 건강과 웰빙, 생명 등이 모두의 관심이 되면서 여학생들의 진입이 늘게 됐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농학계열이 바이오산업, 첨단 식품업, 생화학 등 첨단 산업 및 학문과 결합하면서 여성들의 취향 및 졸업 후 진로와 맞게 된 것도 여학생들의 관심과 진입을 확 끌어올리게 된 주요 원인이라는 것이다.

신문은 나라시 긴키대 농학부의 수업을 현장 취재했다. “흙이 많이 누그러졌다. 지렁이가 있다”며 여학생들이 밝은 목소리를 내며 밭을 경작하는 방법을 배우고 있었다고 전했다. 신문은 “이 대학의 농학부는 1989년 현재의 나라 캠퍼스를 개설했을 당시 여학생 비율이 21%였으나 올해는 40%로 두 배가 됐다”면서 “지원자 수도 2005년과 비교해 농업생산 과학과에서 1.8배, 응용생명 화학과는 2.1배 등의 식으로 증가세가 계속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5-05-21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