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부국’ 해저에서… 희토류·마그네슘·코발트·구리 ‘무더기 발견’

‘석유 부국’ 해저에서… 희토류·마그네슘·코발트·구리 ‘무더기 발견’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3-02-02 11:04
업데이트 2023-02-02 14: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노르웨이 북부 함메르페스트 인근의 한 액화천연가수(LNG) 정제시설. 2023.1.31 AFP 연합뉴스
노르웨이 북부 함메르페스트 인근의 한 액화천연가수(LNG) 정제시설. 2023.1.31 AFP 연합뉴스
북유럽 ‘부자 나라’ 노르웨이의 대륙붕 해저에서 희토류와 구리 등 금속·광물 자원이 대규모로 발견됐다고 노르웨이 석유자원관리국(NPD)이 밝혔다.

로이터통신·CNN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당국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대륙붕 해저 자원에 대한 첫 공식 추정치 발표에서 이 같은 금속·광물 자원이 “상당량”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NPD는 “연구 지역 해저에서 마그네슘, 니오븀, 코발트 등 금속과 희토류 광물 등이 발견됐다”고 말했다.

노르웨이해와 그린란드해의 외딴 지역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매년 전 세계에서 채굴되는 양의 2배에 이르는 약 3800만t의 구리가 매장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해에서 수백만년 동안 성장한 망간각(manganese crusts)에는 마그네슘 약 2400만t과 코발트 310만t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 망간각에는 네오디뮴, 이트륨, 디스프로슘 등 여러 희토류 금속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NPD는 “네오디뮴과 디스프로슘 같은 값비싼 희귀 광물은 풍력 터빈의 자석과 전기차 엔진 등에 매우 중요한 원료”라고 설명했다.

노르웨이는 심해 채굴을 위해 연안 지역을 개방할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으며 이는 환경 문제를 촉발할 수 있다고 외신은 전했다.

환경단체들은 채굴이 해저에 사는 유기체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더 많이 수행될 때까지 당국은 광물 탐사를 멈춰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한편 노르웨이는 1969년 북해에서 유전이 터진 이후 세계 최고의 부국 반열에 올랐다.

노르웨이는 세계 15위 산유국으로 국내총생산(GDP)의 14%, 수출의 40% 이상을 석유와 천연가스가 차지한다. 정부 세입의 14%도 석유 산업에서 나온다.
이정수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