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해법’ 두고 러에 채찍·당근 함께 꺼낸 獨 숄츠

‘우크라 해법’ 두고 러에 채찍·당근 함께 꺼낸 獨 숄츠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21-12-16 17:46
업데이트 2021-12-17 02: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침공 땐 대가” 단언 속 대화 의사 내비쳐
佛·우크라와 노르망디식 4자회담 추진도

새로운 독일 정부의 수장 올라프 숄츠 총리가 러시아에 채찍과 당근을 동시에 내밀었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는 등 군사 도발을 한다면 값비싼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는 한편 건설적 대화를 할 의사가 있다며 유화적인 태도를 보였다.

지난 8일 취임한 숄츠 총리는 15일(현지시간) 독일 연방의회에서 90분간 취임 연설을 했다. 블룸버그통신과 폴리티코에 따르면 숄츠 총리는 “독일은 유럽 파트너와 북대서양 동맹과 한목소리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러시아와의 의사소통 통로를 열어두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숄츠 총리는 1970년대 동독, 소련 등 동구권 국가들과의 긴장 완화를 위해 노력한 사회민주당 출신 빌리 브란트 총리의 외교 정책인 ‘동방정책’을 언급했다. 그는 “신동방정책은 독일 혼자서 추진할 것이 아니라 유럽연합의 틀 안에서 실행돼야 한다”며 “(러시아와) 자주 소통을 시도하고 격화의 소용돌이에서 벗어날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연가스의 40%를 러시아로부터 수입하는 독일은 미국과 달리 러시아에 적대적인 입장만 취하기 어렵다.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가스 수송관 ‘노르트스트림2’의 사용 허가까지 앞두고 있어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숄츠 총리는 이날 연설에서 가스관에 대한 언급을 피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숄츠 총리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만나 러시아를 포함한 노르망디 형식의 4자 회담을 추진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2014년 4개국 정상이 노르망디 상륙작전 70주년 기념식에서 모여 우크라이나 분쟁 해결을 논의했던 것처럼 대화 분위기를 조성하자는 취지다.

한편 숄츠 정부는 이날 주독 러시아대사관 소속 외교관 2명을 추방하기로 했다. 베를린 고등법원이 2019년 8월 베를린 도심 한복판에서 체첸 출신 반러시아 인사를 살해한 혐의로 기소된 러시아 남성에게 무기징역을 선고하자 나온 후속 조치다. 독일 정부는 러시아가 살인을 지시한 정황이 드러난 것으로 이는 독일 주권에 대한 심각한 침해라고 밝혔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21-12-17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