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가리에서 유사 선박 사고는 1954년이 마지막

헝가리에서 유사 선박 사고는 1954년이 마지막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19-05-31 16:26
업데이트 2019-05-31 16: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5년만에 일어난 대형사고..인재일 수밖에”

수색작업 중인 헝가리 구조 당국
수색작업 중인 헝가리 구조 당국 30일(현지시간) 헝가리 부다페스트 다뉴브강에서 구조 대원과 다이버들이 침몰한 허블레아니호 수색 작업에 착수하고 있다. 부다페스트 AP 연합뉴스
헝가리 부다페스트 다뉴브강에서 한국인 승객 33명 등 35명을 태운 유람선 허블레아니호가 침몰하며 7명이 사망하고 19명이 실종돼 수색작업을 벌이는 가운데 헝가리에서 이처럼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선박 사고가 마지막으로 일어난 건 1954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통신사인 MTI는 30일(현지시간) 전날 다뉴브강에서 발생한 선박 사고와 유사한 사고가 65년 전 발라톤 호수에서 발생한 적이 있다고 보도했다. 당시 전복 사고로 20여명이 세상을 떠났다. 이번 사고처럼 유람선과 그보다 큰 크루즈선이 충돌하는 사고는 1년 반 전에도 있었지만 그때는 부상자만 발생했을 뿐 사망자는 없었다.

당시 전복됐던 배는 증기선으로 1918년 부다페스트의 슐리크-니콜슨사가 만들었다. 다뉴브에서 승객을 실어나르도록 만들어졌던 이 배는 얼마 뒤 발라톤 호수로 옮겨졌다. 최대 승선 인원을 150명에서 200명으로 늘리려고 배를 개조하면서도 안전성을 입증할만한 공식적인 절차는 거치지 않았다.

1954년 5월 30일, 어린이날을 기념해 벌러톤퓌레드에서 시오포크로 향하던 178명의 승객을 태운 배는 출발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전복됐다. 사고로 인한 사상자 수는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당시 코뮤니스트 신문은 12명이라고 적었으나 침몰 45주기 기념회에서는 23명으로 규정했다. 한 목격자는 사고 당시 자신이 센 유해의 수는 모두 43명이었다고 말한 바 있다.
이미지 확대
발라톤 호수 전복 사고 사망자 추모비
발라톤 호수 전복 사고 사망자 추모비 위키피디아 캡쳐
한편 임레 호르배트 헝가리 항해협회 사무총장은 이날 현지 M1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허블레아니 침몰 사건은 명백한 인재(人災)”라고 지적했다. 그는 “충돌한 대형 크루즈선은 다른 배와의 거리를 최소 4m씩은 자동 유지하도록 하는 위성항법장치를 갖고 있다”면서 “사고 당일 다뉴브강의 시야는 다른 배들을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였기 때문에 이번 충돌은 사람의 잘못”이라고 못박았다.

헝가리 당국이 선박 통행을 규제하고 있지만 부다페스트 주요 구간에는 하루 평균 70척의 배가 운항한다. 선박 엔지니어인 안드라스 솔리모스는 “선박 운행 규정을 다소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고를 일으킨 대형 크루즈선의 통행을 금지하는 것은 어렵지만 적어도 유사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규제는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