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탈선열차 기관사는 속도광?

스페인 탈선열차 기관사는 속도광?

입력 2013-07-27 00:00
업데이트 2013-07-27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급커브길 시속 190㎞ 운행, SNS 글 근거 속도집착 의혹

80명의 목숨을 앗아 간 스페인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시(市) 고속열차 탈선 사고의 원인이 과속 운행인 것으로 드러나면서 해당 열차가 왜 ‘무모한 질주’를 했는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25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 등에 따르면 사고가 발생한 갈리시아주 사법당국은 해당 열차의 기관사인 프란시스코 호세 가르손(52) 등을 상대로 정식 수사에 착수했다. 가르손은 이번 사고를 둘러싼 최대 쟁점인 과속 운행의 경위를 밝힐 열쇠를 쥔 인물 가운데 하나다.

사고 장면이 촬영된 폐쇄회로(CC)TV 화면을 보면 객차 8량으로 구성된 사고 열차는 해당 구간의 규정 속도(시속 80㎞)를 훨씬 벗어난 시속 190㎞로 급커브길에 진입하다 중간 부분부터 옆으로 쓰러지며 마구 뒤엉켜 버렸다.

스페인 언론들은 가르손이 예전에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들을 근거로 그가 개인적으로 속도에 집착하는 인물이라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그는 지난해 3월 페이스북에 속도계 바늘이 시속 200㎞를 가리키는 사진과 함께 “난 지금 한계 속도로 달리고 있다”면서 “이보다 빨리 달리면 그들이 벌금을 물릴 것”이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한편 브라질 당국은 이번 사고를 일으킨 스페인 국영철도회사 렌페를 9월에 있을 고속철도 입찰에서 배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입찰 시행일을 기준으로 5년 이내에 발생한 치명적인 사고에 관련된 업체를 입찰에 참여시키지 않는다는 규정에 따른 것이다.

현재 브라질 정부는 리우데자네이루∼상파울루∼캄피나스를 잇는 511㎞ 구간에 고속철도를 건설할 계획이며, 400억 헤알(약 20조 2000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스페인은 사업 참여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3-07-27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