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中, 나이키 불태우고 ‘No H&M’...신장 인권 불똥 튄 글로벌 패션

中, 나이키 불태우고 ‘No H&M’...신장 인권 불똥 튄 글로벌 패션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1-03-25 18:16
업데이트 2021-03-25 18: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류업, ‘인권’과 ‘중국 시장’ 중 선택 기로에 서

미국 나이키가 “위구르족 강제노동 문제가 불거진 신장 지역의 면 제품을 공급받지 않겠다”고 밝히자 25일 한 중국 누리꾼이 올린 동영상. 나이키에 대한 항의 표시로 신발을 불태우고 있다. 웨이보 제공
미국 나이키가 “위구르족 강제노동 문제가 불거진 신장 지역의 면 제품을 공급받지 않겠다”고 밝히자 25일 한 중국 누리꾼이 올린 동영상. 나이키에 대한 항의 표시로 신발을 불태우고 있다. 웨이보 제공
미국과 유럽연합(EU) 등과 중국이 위구르족 문제를 두고 벌이는 갈등의 불길이 글로벌 패션 브랜드로 옮겨붙었다. 스웨덴 H&M과 미국 나이키가 “강제노동이 이뤄지는 신장산 제품과 원자재를 조달받지 않겠다”고 밝힌 사실이 알려지면서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불매운동이 벌어지는 등 파문이 커지고 있다. 중국에 공장을 둔 의류 업체들이 신장산 제품을 100% 배제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글로벌 브랜드들이 머지않아 ‘인권’과 ‘중국 시장’ 가운데 하나를 택해야 하는 상황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25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H&M은 “신장에서 생산되는 면화를 쓰지 않고 신장 내 의류 공장과도 협력하지 않는다”고 밝힌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중국 누리꾼들에게 뭇매를 맞았다. 웨이보(중국판 트위터) 등에는 “신장 제품을 불매하면서 중국에서 돈을 벌겠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 “중국의 현실을 왜곡하는 H&M 제품을 더는 사지 않겠다”는 등의 글이 쏟아지고 있다.

중국 온라인 쇼핑몰 타오바오와 징둥, 톈마오(T몰) 등에서도 해당 상품이 삭제됐다. H&M 남녀 모델인 배우 황쉬안과 쑹첸(빅토리아)도 “모든 계약을 종료한다. 중국에 대해 유언비어를 날조하는 행위에 반대한다”고 선언했다.

H&M의 중국 내 점포는 520개로 미국(593개)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지금 추세면 H&M은 본토에서 퇴출당할 가능성이 크다.
스웨덴 의류 브랜드 H&M
스웨덴 의류 브랜드 H&M
지난해 H&M은 웹사이트를 통해 “신장 강제노동과 소수민족 차별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면화를 구매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 성명은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지난 22일 미국과 EU, 영국, 캐나다 등 30개국이 위구르족 인권 탄압을 이유로 대중 제재에 돌입하자 중국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이 이 내용을 퍼뜨려 사태가 커졌다고 SCMP는 설명했다.

나이키도 표적으로 떠올랐다. 이 회사 역시 신장 강제노동과 관련한 보도에 우려를 표하고 “이 지역 제품을 공급받지 않는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홍콩 명보는 전날부터 나이키 신발을 불태우는 동영상이 인터넷을 채우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광고 모델 왕이보는 “이 회사와의 모든 협력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일부 누리꾼은 독일 아디다스까지 목록에 올려 공세에 나섰다. 오래지 않아 중국에 제조시설을 둔 모든 해외 의류 브랜드가 ‘사상 검증’ 대상이 될 전망이다.

미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 따르면 중국은 세계 최대 면직물 수출국으로 시장 점유율이 20%를 넘는다. 중국산 면직물 가운데 85%가 신장산이다. 중국산 면류 제품은 거의 다 신장산이라고 봐도 된다.

2019년 일본 의류 브랜드 유니클로와 무인양품(MUJI)은 “질 좋은 신장산 면을 사용했다”는 의류 광고를 내보내 논란이 됐다. “강제노동과 관계없다”고 해명했지만 공급망의 복잡성을 감안할 때 중국산 면을 쓰면서 강제노동에서 자유로운 제품을 완벽하게 걸러 낸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