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채 사상 처음 마이너스 금리 발행

중국 국채 사상 처음 마이너스 금리 발행

김규환 기자
입력 2020-11-20 12:16
업데이트 2020-11-20 12: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화상회의로 열린 2020 APEC 정상회담에 앞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는 모습. AP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화상회의로 열린 2020 APEC 정상회담에 앞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는 모습. AP 연합뉴스
중국 정부의 국채가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 금리로 발행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확산 이후 세계 각국 중앙은행들의 연쇄적인 금리 인하와 시중 유동성 공급으로 채권 수익률이 크게 낮아진 데다 가장 먼저 코로나19 사태를 통제한 중국의 경제가 상대적으로 양호해 투자 수요가 많은 데 따른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주관 금융사인 도이체방크는 19일(현지시간) 40억 유로(약 5조 2900억원) 규모의 중국 국채 발행에 유럽 기관투자가들을 중심으로 이보다 4배 이상 많은 180억 유로의 입찰이 몰려들었다고 밝혔다. 사무엘 피쳐 도이체방크 중국 채권시장 본부장은 “투자자들이 중국에 더 많이 노출되고 싶어 한다”며 “중국은 코로나19에서 탈출하며 경제가 강하게 회복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7억 7000만 유로 규모의 5년물 중국 국채가 -0.152%의 금리로 발행됐다. 그래도 현지 기준물 금리보다는 0.3%포인트 높았다. 나머지 10년물과 15년물의 중국 국채 금리는 각각 0.318%와 0.664%로 발행돼 0%대를 기록했다. 유럽에서 ‘안전자산’의 대명사로 꼽히는 독일 국채 5년물 금리는 전날 -0.74%를 기록했다.

금융정보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중국이 마이너스 금리 국채를 발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투자자들이 ‘웃돈’을 주고 중국 국채를 매입했다는 얘기다. 넘치는 마이너스 금리 국채 속에서 그나마 중국 금리가 높은 점도 강력한 유인으로 작용했다. 그만큼 투자자들의 중국 투자수요가 강력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펀드매너저들이 웃돈까지 주면서 국채를 사들이는 것은 든든한 유럽중앙은행(ECB)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위기에 ECB는 채권을 끌어 모아 매입하고 있고 펀드매니저들은 시세 차익을 보고 ECB에게 팔아 넘길 수 있는 까닭이다.

채권은 가격과 금리가 반대로 움직인다. 수요가 몰려 채권 가격이 오르면 금리가 내리는 식이다. 채권 금리가 마이너스이면, 발행시장에서 그만큼 웃돈을 주고 채권을 사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채권 가격 오름세가 지속되면 유통시장에 이를 팔아 차익을 챙길 수 있다. 게다가 약정 금리가 마이너스라도 국채는 안전성과 유동성을 동시에 챙길 수 있다. 유통시장에서 공정가격에 팔아 빨리 현금화할 수 있다. 특히 중국은 달러 대신 유럽시장에 국채를 팔아 미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의도도 있다. 제임스 애데이 애버딘스탠다드투자 투자매니저는 “중국은 미국과 미 달러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ICE-뱅크오브아메리카의 세계채권시장 벤치마크 지수에 따르면 전세계 마이너스 금리의 채권 규모는 16조 9000억 달러(약 1경 9000조원)에 이른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