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특파원 블로그] 독가스실 같은 도시 ‘스모그 지옥 베이징’

[World 특파원 블로그] 독가스실 같은 도시 ‘스모그 지옥 베이징’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6-12-20 21:50
업데이트 2016-12-20 22: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일 새벽 4시. 눈이 따끔거려 더는 잠을 이어 갈 수 없었다. 손가락으로 눈을 비비니 검은색 눈곱이 떨어졌다. 목구멍은 마치 밤새 줄담배를 피운 것처럼 갑갑했다. 5년 전 애써 금연에 성공했는데, 목구멍에 시커먼 먼지가 다시 켜켜이 쌓여 가는 느낌이었다.

새벽 6시. 아직도 해는 뜨지 않았다. 아니 오늘은 해가 뜨지 않을 것이다. 평소 같으면 환하게 밝았어야 할 창밖으로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캄캄한 어둠이 아니라 하얀 안개처럼 보이는 가스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게 한다. 가시거리 0m. 어젯밤 깨끗이 닦았던 식탁을 행주로 훔치니 가스의 색깔이 흰색이 아닌 검은색이었음을 새삼 느낀다. 베이징 공항의 항공기 이착륙이 금지됐고 고속도로는 폐쇄됐다.

아침 7시. 가시거리가 10m 정도 확보됐다. 실외 PM2.5(지름 2.5㎛ 이하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500㎍/㎥ 고지를 향해 치솟고 있었다. 공기 청정기 4대를 최대 출력으로 켜 놓은 실내의 공기질은 300㎍/㎥. 세계보건기구(WHO)의 기준치가 25㎍/㎥이니 기준치를 12배 초과하는 독가스실에서 잠을 잔 셈이다. 베이징 인근 스자좡은 1000㎍/㎥를 초과해 계측 한도를 넘어섰다.

아침 8시. 전조등을 켜면 겨우 운전할 수 있을 정도가 됐다. 출근 시간이지만, 도로는 유령이 나올 듯 스산했다. 적색경보에 따른 차량 홀짝제 탓이 크지만, 아무리 스모그에 무덤덤한 중국인이라도 이런 악조건 속에서 운전대를 잡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학생을 실어 나르던 통학 버스는 휴교령으로 5일째 거리에서 먼지를 뒤집어쓰고 있었다.

아침 9시. 지하철 14호선 둥후취역. 희뿌연 스모그 속에 아득히 보이는 지하철 역사가 사람들을 빨아들이고 있었다. 하양, 빨강, 파랑에 정화 장치까지 달린 첨단 마스크까지 전철은 흡사 마스크 박람회장 같았다. “결혼하면 무조건 베이징을 떠날 겁니다. 아이에게 이런 공기를 마시게 할 순 없어요.” 20대 여성의 눈에는 핏발이 섰다.

‘베이징 탈출’은 이미 현실이 됐다. 북부 사람들이 남쪽으 로 대피하는 ‘피난 여행’이 줄을 잇고 있다. 온라인 여행예약 사이트인 취날왕에 따르면 하이난, 윈난, 푸젠 등 남부 해안 도시로 향하는 비행기 좌석은 모두 동났다. 부유층은 발리, 푸껫, 하와이, 제주도로 향했다. 일부는 남극으로까지 줄행랑치고 있다.

베이징에 남은 이들은 어떻게 해야 하나. 베이징 의대 호흡기내과 전문의 왕치는 “최대한 호흡을 자제하라”고 조언했다. 그는 “이 정도 스모그라면 실내외 구분이 별 의미가 없다”면서 “실내에서도 절대 운동을 하지 말고 최대한 숨을 살살 쉬어 폐활량을 최소화하라”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스모그와의 전쟁에서 또 참패했다. 1200여개 공장의 문을 강제로 닫게 하고 휴교령, 차량 홀짝제, 단축 근무, 구이 음식점 영업 정지 등 모든 수단을 다 동원했지만, 백약이 무효했다. 지난 닷새 동안 적색경보가 내려진 중국 도시는 무려 71곳으로, 중국 전체의 15%가 스모그 지옥으로 변했다. 중국인들이 지금 바라는 것은 오직 하나다. ‘얼어 죽어도 좋으니 제발 바람아 불어다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12-21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