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특파원 블로그] “그날이라서” 그녀의 솔직함…中올림픽 애국주의 허물다

[World 특파원 블로그] “그날이라서” 그녀의 솔직함…中올림픽 애국주의 허물다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6-08-17 22:54
업데이트 2016-08-17 2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필이면 어제부터 생리가 시작됐어요.”

이미지 확대
중국 수영 선수 푸위안후이(傅園慧)
중국 수영 선수 푸위안후이(傅園慧)
중국은 요즘 수영 선수 푸위안후이(傅園慧)의 매력에 푹 빠져 있다.

지난 13일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여자 400m 계주에서 4위로 경기를 마친 푸위안후이는 배를 움켜쥐고 주저앉았다. 중국중앙텔레비전(CCTV) 기자가 “어디 불편하냐”고 묻자 “어제부터 생리가 시작돼 배가 많이 아프다”면서 “그래도 생리통이 성적 부진의 변명이 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여성 운동선수들 사이에서 금기시되는 생리 얘기를 자연스럽게 꺼낸 푸위안후이의 동영상은 순식간에 퍼져 나갔다. ‘아주머니가 오셨네’ 등으로 완곡하게 생리 기간을 표현하는 중국 여성들은 푸위안후이가 열어 놓은 ‘생리 담론’에 뛰어들어 그동안 말 못했던 고통을 털어놓고 있다.

푸위안후이는 지난 8일 배영 100m 준결승이 끝난 뒤 기자가 ‘결승전까지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겠느냐’고 묻자 “최선을 다하겠다”는 말 대신 “홍황지력(洪荒之力·태고의 힘)까지 다 써버렸기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누리꾼들은 변화무쌍한 그녀의 표정을 빗대 ‘이모티콘 팩’이라는 별명을 붙였다.

중국 젊은이들이 푸위안후이에게 열광하는 것은 그녀의 솔직한 언어가 지독한 스포츠 애국주의를 허물고 있기 때문이다. 올림픽 역사상 32년 만에 메달을 따지 못한 체조, 무더기 메달을 기대한 수영의 몰락 등 중국 언론은 신통찮은 성적을 비판하고 있지만, 젊은이들은 메달 숫자보다는 푸위안후이의 어록과 사진을 공유하며 올림픽을 즐기고 있다.

푸위안후이는 동료 선수들과 함께 17일 새벽 귀국했다. 수백명의 팬들이 공항에서 꽃을 들고 기다렸다. 푸위안후이는 ‘팬들이 반겨 주니 기분이 좋지 않으냐’는 질문에 “솔직히 저를 보러 나온 게 아니잖아요. 잘생긴 닝저타오, 저기 뒤에 나오네요”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물론 진지한 면도 있다. 자신의 웨이보에 올림픽을 마무리하는 소감을 이렇게 적었다. “나는 인터넷 스타(網紅)가 아니고 이모티콘 팩도 아니다. 나는 운동선수다.”

1990년대 올림픽을 평정한 ‘다이빙 여왕’ 푸밍샤(伏明霞)의 별명은 ‘단지 모를 뿐이다’였다. 금메달 소감을 묻는 질문에 늘 “잘 모르겠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선수들이 행여 국가에 누가 되는 말을 할까 봐 단단히 사상교육을 시킬 때다. 푸위안후이는 푸밍샤가 애틀랜타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를 딴 1996년에 태어났다. 금메달을 쓸어담고도 기쁨을 감춰야 했던 푸밍샤와 달랑 동메달 1개로 올림픽의 기쁨을 마음껏 누린 푸위안후이. 중국 사회의 질적 변화를 실감케 하는 리우올림픽이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8-18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