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마보이’ 中 인민해방군’

‘마마보이’ 中 인민해방군’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05-07 00:30
업데이트 2015-05-07 0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WSJ “고급 인력, 군입대 외면” 10명 중 7명 1자녀 가구 출신 부모 과보호 영향… 심신 약해

세계 최대 병력(230만명)을 자랑하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전투 능력이 과대 포장됐다는 주장이 또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5일(현지시간) 군사 전문가들의 분석을 인용해 “중국이 남중국해 등에서 무력을 과시하고 국방비를 매년 10% 이상씩 증액해 왔지만 실제 전투 능력은 예상보다 떨어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인민해방군의 전투력을 낮게 평가한 가장 큰 이유는 군인의 역량 부족 때문이다. 숫자 늘리기에 급급한 나머지 급여와 복지를 개선하지 못해 현대전을 수행할 만한 고급 인력이 군대를 외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상 모병제인 중국의 군인 초봉은 월 160달러(약 17만원)로 알려져 있다. 과거에는 입대하면 공산당 가입이 쉽고 숙식이 제공돼 젊은이들이 몰렸으나 경제가 발전하면서 대졸자 입대가 줄고 있다.

1자녀 정책 때문에 심신이 약한 ‘마마보이’가 병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혔다. 인민해방군 병력의 70% 정도는 1자녀 가구 출신이며 이들이 전투 병력의 80%를 점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 2월 미국 싱크탱크인 랜드연구소도 “30년간 계속된 1자녀 정책 탓에 인민해방군에는 부모가 과보호한 청년들이 몰려들었다”면서 “많은 병사가 훈련 중에 눈물을 흘리거나 여자 친구와 채팅을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대기오염으로 인해 군인에겐 필수적인 심폐 능력이 다른 국가 군인들에 비해 떨어진다는 점과 계급까지 사고파는 중국군 특유의 부패도 인민해방군의 약점으로 지적됐다. 1979년 베트남전 이후 한 번도 실전 경험이 없는 것도 문제로 꼽힌다. 당시 중국은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에 반발해 60만 병력을 동원해 베트남을 공격했지만 대패했다. 중국군 스스로도 전투 경험이 없는 약점을 ‘평화병’으로 부르고 있다.

베이징 주재 미 대사관 무관을 지낸 데니스 블래스코는 WSJ에 “인민해방군의 명령 체계는 전문적인 장교와 정치적인 당 간부로 이원화돼 있어 속도전을 수행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5-07 1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