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中이 물 독점, 인도·동남아 다 죽어”… 메콩강에 흐르는 ‘反中’

“中이 물 독점, 인도·동남아 다 죽어”… 메콩강에 흐르는 ‘反中’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1-12-31 01:42
업데이트 2021-12-31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메콩강 상류 잇단 댐 지어 수자원 확보
‘동남아 젖줄’ 물부족에 제2 남중국해 우려
인도와도 야루짱부강 수력 발전소 갈등

이미지 확대
메콩강과 야루짱부강 등 중국이 다른 나라들과 함께 쓰는 하천이 반중 정서의 새로운 소재로 떠올랐다. 만성적인 물 부족에 시달리는 중국이 강 상류에 댐을 너무 많이 지어 인도와 동남아 국가들이 충분한 수자원을 공급받지 못하고 있다는 이유다. 이들 하천이 ‘제2의 남중국해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30일(현지시간) “중국의 고도성장으로 수자원이 빠르게 고갈돼 아시아 각국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세계 인구의 20%를 차지하지만 담수량은 7%에 불과하다. 1인당 수자원도 세계 평균의 4분의1 수준이다. 폐수 재처리 시설도 턱없이 모자라 물 낭비를 막지 못하고 있다.

중국은 주요 강마다 닥치는 대로 댐을 지어 수자원 확보에 나섰다. 문제는 해당 하천을 중국 혼자만 쓰는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메콩강(4350㎞)이다. 티베트에서 발원해 미얀마와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을 거쳐 남중국해로 흘러가는 동남아 최대 하천이다. 이 강에 의존해 사는 사람만 7000만명에 달한다.

주변국들은 10여년 전부터 인도차이나반도에 가뭄이 빈번해진 이유로 중국의 무분별한 댐 건설을 지목했다. 지난해 미국의 컨설팅 업체 아이스온어스는 메콩강 수계 분석 보고서를 통해 “2019년 우기(5~10월)에 상류의 수위는 평균을 넘었지만 하류는 이보다 훨씬 낮았다. 중국이 물을 가둬 놓고 흘려보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반면 중국 칭화대는 “중국의 댐들이 우기에 물을 저장했다가 건기에 방류해 메콩강 유량 확보에 오히려 도움을 줬다”고 반박했다.

중국은 지난해 6월 국경 분쟁을 계기로 전방위로 충돌 중인 인도와도 ‘티베트의 젖줄’ 야루짱부강(2840㎞)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중국 정부가 이 강에 여러 개의 수력발전소를 짓겠다고 밝히면서다. 총발전 규모만 6000만㎾다. 세계 최대 규모인 후베이성 싼샤댐의 전력 용량이 2250만㎾인 점을 고려하면 새로 지을 댐들이 상당한 크기임을 짐작할 수 있다.

야루짱부강은 히말라야 기슭에서 시작해 방글라데시, 인도를 거쳐 벵골만으로 흘러간다. 인도에서는 ‘브라마푸트라’로 부른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과 인도가 히말라야 국경 분쟁지역에서 유혈 충돌을 벌인 직후 야루짱부강 발전소가 추진되고 있다. 안 그래도 중국에 화가 나 있는 인도를 더욱 자극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2021-12-31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