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BTQ의 승리” 육상 1500m 우승 美트랜스젠더 선수가 남긴 말

“LGBTQ의 승리” 육상 1500m 우승 美트랜스젠더 선수가 남긴 말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3-07-10 15:22
업데이트 2023-07-10 17: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트랜스젠더 논바이너리로 커밍아웃한 미국 육상선수 니키 힐츠가 지난 8일(현지시간) 오리건주 유진에서 열린 미국육상선수권대회 여자 1500m 결승에서 우승한 후 기뻐하고 있다. 2023.7.8 AP 연합뉴스
트랜스젠더 논바이너리로 커밍아웃한 미국 육상선수 니키 힐츠가 지난 8일(현지시간) 오리건주 유진에서 열린 미국육상선수권대회 여자 1500m 결승에서 우승한 후 기뻐하고 있다. 2023.7.8 AP 연합뉴스
미국에서 자신을 트랜스젠더이자 논바이너리(여성·남성 이분법을 거부하는 사람)로 규정하는 육상선수가 여자 1500m 경기 우승 후 “이것은 트랜스 커뮤니티의 승리”라고 말했다고 9일(현지시간) 폭스뉴스·뉴욕포스트 등 현지 언론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생물학적 여성인 니키 힐츠는 전날 오리건주 유진에서 열린 미국육상선수권대회 여자 1500m 결승에서 4분 3초10의 기록으로 결승선을 가장 먼저 통과했다. 2위 선수보다 0초23 빠른 기록이다.

이미지 확대
트랜스젠더 논바이너리로 커밍아웃한 미국 육상선수 니키 힐츠가 지난 8일(현지시간) 오리건주 유진에서 열린 미국육상선수권대회 여자 1500m 결승에서 4분 3초10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고 있다. 2023.7.8 AP 연합뉴스
트랜스젠더 논바이너리로 커밍아웃한 미국 육상선수 니키 힐츠가 지난 8일(현지시간) 오리건주 유진에서 열린 미국육상선수권대회 여자 1500m 결승에서 4분 3초10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고 있다. 2023.7.8 AP 연합뉴스
결승선 통과 직후 환한 미소를 지은 힐츠는 우승 소감에서 “(트랜스젠더를 향한) 증오가 너무 많다고 생각한다. 특히 청소년 트랜스젠더에 대한 법안이 통과되고 있다”며 “LGBTQ(성소수자) 커뮤니티는 승리가 필요했고, 이 경기에서 당신의 마음을 스치는 많은 것들이 있을 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힐츠는 트랜스젠더 논바이너리 선수지만, 최근 미국의 여러 운동 경기에서 논란이 됐던 남성으로 태어나 여성으로 성전환한 경우는 아니다.

이미지 확대
지난 8일(현지시간) 오리건주 유진에서 열린 미국육상선수권대회 여자 1500m 결승에서 2위를 차지한 애싱 무(왼쪽)가 경기 종료 직후 우승자 니키 힐츠(오른쪽)와 포옹을 나누고 있다. 2023.7.8 AP 연합뉴스
지난 8일(현지시간) 오리건주 유진에서 열린 미국육상선수권대회 여자 1500m 결승에서 2위를 차지한 애싱 무(왼쪽)가 경기 종료 직후 우승자 니키 힐츠(오른쪽)와 포옹을 나누고 있다. 2023.7.8 AP 연합뉴스
여성으로 태어났으며 현재도 여성 경기에 참여한 그는 6살 때부터 소년이 되기를 원했으며 니키 대신 닉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를 좋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드레스를 입는 것을 거부했고 짧은 머리에 야구모자를 쓰고 다녔다.

힐츠에게 스포츠는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장소 중 하나로 느껴졌다. 사람들은 그를 섣불리 판단하지 않고 그저 빨리 달리는 아이로 기억할 것이라고 그는 생각했다.

이미지 확대
트랜스젠더를 상징하는 하늘색·분홍색·흰색 조합의 깃발을 들고 있는 니키 힐츠. 니키 힐츠 인스타그램 캡처
트랜스젠더를 상징하는 하늘색·분홍색·흰색 조합의 깃발을 들고 있는 니키 힐츠. 니키 힐츠 인스타그램 캡처
힐츠는 2021년 4월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트랜스젠더 논바이너리라고 커밍아웃했다. 그러면서 태어날 때 주어진 성별과 현재의 자신을 동일시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어린 시절 사진들을 공유하면서 “현재 내 성별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어는 이진법이 아니다. 내 성별을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유동적이다”라고 했다.
이정수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