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美 보육교사 부족에 일자리 회복 발목 잡혔다

美 보육교사 부족에 일자리 회복 발목 잡혔다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1-06-06 20:34
업데이트 2021-06-07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특파원 생생리포트] 보육인력, 코로나 전보다 15% 감소
어린이집 학생 수 줄이거나 문 닫아
아이 맡길 곳 없는 부모 재취업 포기

이미지 확대
미국 일리노이주 글랜뷰의 한 어린이집 앞에 지난달 22일(현지시간) ‘교사를 구한다’고 적힌 입간판이 설치돼 있다. 글랜뷰 AP
미국 일리노이주 글랜뷰의 한 어린이집 앞에 지난달 22일(현지시간) ‘교사를 구한다’고 적힌 입간판이 설치돼 있다.
글랜뷰 AP
미국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비율이 50%를 넘어서며 일자리는 회복되고 있지만, 어린이집을 구하지 못해 재취업이나 사무실 복귀가 힘든 노동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보육 인력 부족으로 문을 닫거나 학생수를 줄이는 어린이집이 늘면서 가정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한편 노동자 부족 현상을 부추긴다는 분석이 나온다.

6일 미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보육 인력은 코로나19 전보다 15% 감소했다. 미 전체 근로자 중 2680만명(16%)이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긴다는 점에서 타격이 적지 않다.

어린이집은 보육인력 채용에 나서고 있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다. 텍사스주 텍사캐나의 어린이집인 클론다이크는 교사 부족으로 지난달 28일 운영 4년 만에 폐업했고, 123명의 아이들은 다른 곳을 찾아야 했다. 이곳 관계자는 현지 언론인 텍사캐나 가젯에 “(차량으로 3~5시간 거리인) 댈러스나 오클라호마시티까지 교사 충원에 나섰지만 자격을 갖춘 이가 한 명도 없었다”고 전했다.

지난 4월 뉴햄프셔주의 시민단체 ‘얼리 러닝 NH’가 지역 어린이집 700개를 조사한 결과 인력 부족으로 총 4만 6000명의 정원 중 6000명(13%)을 채우지 못했다. 내슈아에서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조이스 굿윈은 현지 언론 유니온리더에 “부모들은 매일 빈자리가 있는지 전화한다. 우리는 10~12명의 아이를 더 받을 수 있지만 교사가 없다”며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구인 광고를 냈지만 소용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미시간주 앤아버 공립학교들도 최근 방과후 보육 서비스를 없애기로 했다. 메릴랜드주 몽고메리카운티는 주당 200달러의 보너스를, 프린스 조지카운티는 급여의 20%를 더 주겠다는 고육책까지 내놓았지만, 해당 지역 공립학교들은 여름학교 교사를 충분히 충원하지 못했다.

지난해 코로나19로 보육인력이 35%까지 해고됐는데 복귀하는 이들은 절반에 불과한 상황이다. 보육인력의 중위 임금은 12.24달러(약 1만 3600원)이고, 하위 10% 임금은 8.84달러(약 9870원)에 불과하다. 아마존·코스트코·타깃·베스트바이 등의 최저임금인 15달러(약 1만 6700원)에 크게 못 미치는 셈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루이지애나주의 경우 사립 어린이집 교사 중 44%가 매년 휴직하고 있으며, 이는 초중고교의 휴직률(약 16%)과 비교해 3배에 육박한다.

어린이집들은 교사 1인당 학생수나 교사 자격 등 관련 규제를 풀어 달라는 입장이다. 특히 보육교사의 학력 기준을 대졸 이상으로 정한 게 부담이다. 보육이 해결돼야 부모의 재취업도 늘면서 미국의 경기회복이 빨라질 거라는 주장도 나온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밀려드는 주문에도 50만개의 일자리를 채우지 못했을 정도로 심한 구인난에 시달린다고 CNN은 보도했다.

반면 규제 완화로 보육의 질을 낮춰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미네소타주는 일정 수준의 교육(120시간)을 이수한 보육인력에 대해 최저임금을 18.2달러(약 2만원)로 높이고 점진적으로 공립학교 교사 수준으로 상향하는 법안을 추진 중이다. 워싱턴포스트는 “정말 보육인력이 패스트푸드나 유통업체 직원과 경쟁하기를 바라는가. 소방서나 공립학교를 자본주의의 손에 맡기지 않는 이유를 생각해 보라”고 주장했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
2021-06-07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