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트럼프 리더십에 잇단 경고음… “중·러엔 이득”

흔들리는 트럼프 리더십에 잇단 경고음… “중·러엔 이득”

한준규 기자
입력 2019-10-27 17:56
업데이트 2019-10-28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선주의 따른 일방적 외교·동맹무시 탓

美싱크탱크 “지정학적 지진 굉음 느껴져”
英연구소 “질서 파괴” 통상정책 한계 지적
새 정권에도 美리더십 회복 불가능 전망

미국의 리더십이 흔들리면서 ‘팍스 아메리카’ 시대가 끝났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정부의 ‘미국 우선주의’에 따른 일방적 외교와 동맹 무시 논란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정부 이후 새로운 정권이 들어서더라도 미국의 리더십 회복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 싱크탱크 애틀랜틱카운실 프레더릭 켐프 회장은 26일(현지시간) CNBC에 “‘지정학적 지진’으로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다”면서 “그 틈을 타 중국과 러시아가 이득을 취하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켐프 회장은 “최근 지정학적 지진의 확실한 ‘굉음’을 느낄 수 있다”며 “오랫동안 떨림이 있었지만 미국이 크게 기여했던 정치·경제적 세계를 위협하는 지각변동이 매일 점점 더 분명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시리아 철군과 쿠르드족 동맹 포기 등을 지적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고립주의’도 비판했다. 그는 “시리아에서 우크라이나, 아프가니스탄에서 아프리카까지 지각판이 미 글로벌 리더십의 신뢰와 지속성뿐 아니라 2차 세계대전 이후 약 70년간 미국이 고취했던 민주적 가치와 서구적 제도, 동맹 구조 등을 위협하는 방식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영국 왕립국제문제연구소(채텀하우스)도 27일 발간한 ‘세계 경제가 새 리더를 찾을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트럼프 정부 출범 후 미국은 기존 질서를 파괴하는 쪽으로 나아갔다”며 “미국이 국제무역과 통화 부문에서 추구하는 가치가 서로 충돌해 오다가 이제는 양립할 수 없는 수준에 다다랐다”고 미국의 통상정책이 한계에 부딪혔음을 지적했다. 보고서는 특히 “미 정부가 지금 같은 변덕스러운 정책을 이어 간다면 당장은 아니더라도 달러화가 언젠가는 현재의 지위를 상실할 위험이 존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채텀하우스는 “앞으로 출범할 미 정부가 트럼프 정부보다 덜할지는 몰라도 미국이 과거 역할을 재개할 것으로 기대하는 건 현실적이지 않다”며 트럼프 대통령 이후 누가 집권해도 ‘대세’가 된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 상실을 되돌리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9-10-28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