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1.32% 상승 마감…美연방준비제도 위원 금리인상 ‘신중’ 발언 영향

다우 1.32% 상승 마감…美연방준비제도 위원 금리인상 ‘신중’ 발언 영향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9-13 09:10
업데이트 2016-09-13 09: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우 1.32% 상승 마감. 사진=AP 연합뉴스
다우 1.32% 상승 마감. 사진=AP 연합뉴스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상승했다.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이 기준금리 인상에 신중해야 한다고 발언한 영향이 컸다.

12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39.62포인트(1.32%) 상승한 18,325.07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1.23포인트(1.47%) 높은 2,159.0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85.98포인트(1.68%) 오른 5,211.89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하락 출발한 지수는 장중 상승세로 돌아섰다.

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 등 연준 위원들이 기준금리 인상에 신중한 모습을 보인 데 따라 이번 달 기준금리 인상 우려가 감소해서다.

업종별로는 통신업종이 2% 가까이 상승하며 가장 큰 오름폭을 기록했다. 유틸리티업종과 기술업종, 헬스케어업종, 필수 소비업종이 1.5% 넘게 올랐고 금융업종과 산업업종도 각각 1% 이상 상승하는 등 전 업종이 일제히 강세를 나타냈다.

지난 2거래일 연속 내림세를 보였던 애플의 주가는 2% 넘게 상승했다.

골드만삭스와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씨티그룹의 주가도 각각 1% 이상 올랐다.

시장은 이날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예정돼 있지 않은 가운데 연준 위원들의 연설을 주목했다.

브레이너드 이사는 시카고국제문제협의회(CCGA) 연설에서 경기 조절적인 정책에서 벗어나는 데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고용시장 추가 성장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완만하고 점진적일 것이기 때문에 “선제 긴축 정책 근거가 강하지 않다”고 진단했다.

이에 앞서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미 경제방송 CNBC에 출연해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에 빨리 나설 이유가 없다고 평가했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애틀랜타에서 가진 전미실물경제협회(NABE) 연설 자료에서 “경제가 중기적인 관점에서 위원회의 통화정책 목표들을 대체로 달성시킬 충분한 추진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경제 상황들은 (9월 회의에서 금리 인상에 대한) 진지한 논의를 가능케 한다”면서도 시장 변동성을 주고 싶지 않다며 인상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다.

연준은 오는 20~2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기준 금리를 결정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