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 공공의 적 탄생” “알파맘 진화 모델”

“女 공공의 적 탄생” “알파맘 진화 모델”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5-09-08 01:00
업데이트 2015-09-08 0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봉 500억원 야후 CEO “출산휴가 안 갈 것” 논란

알파걸이 알파맘으로 진화한 모델일까, 여성 공공의 적이 탄생한 것일까.

오는 12월 딸 쌍둥이를 출산할 머리사 메이어(40) 야후 최고경영자(CEO)가 3년 전 아들을 낳았을 때처럼 법정 출산휴가 16주 중 2주만 쓴 뒤 복귀하겠다고 선언해 논란의 중심에 섰다고 6일(현지시간) CNN이 보도했다. 나머지 14주를 반납하겠다는 것이다. 메이어와의 비교가 두려워 여성 샐러리맨들의 출산휴가 사용이 위축될 것이란 비난과 메이어의 사생활이니 신경 쓸 것 없다는 냉소가 교차했다.

이미지 확대
머리사 메이어 야후 최고경영자(CEO) AP 연합뉴스
머리사 메이어 야후 최고경영자(CEO)
AP 연합뉴스
●“여성 직장인 출산휴가 사용 위축” vs “그녀의 사생활일 뿐”

메이어는 3년 전엔 구글 부사장에서 야후 CEO로 옮긴 지 3개월 만에 아기를 낳았기에, 올 하반기엔 야후가 대대적인 전환 국면에 서기에 오래 자리를 비울 수 없다고 설명했다.

미국 여성 25%가 출산 뒤 2주 만에 복귀하는 점을 감안하면 그의 선택이 희귀 사례는 아니다. 그러나 첫아들이 생후 5개월이 되자 자신의 사무실 옆 건물로 아들과 보모를 옮긴 것을 생각하면, 지난해 연봉이 4210만 달러(약 500억원)이고 보유 자산이 3억 달러(약 3300억원)인 메이어에게만 가능한 특별한 육아 사례다.

●저커버그 페북 CEO 출산휴가 사용 여부도 관심

출산과 양육이란 메이어의 개인적인 선택이 집중포화를 맞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다. 우선 출산 2주 만에 복귀하는 ‘무쇠 CEO’가 직장인들의 헌신에 대한 기대를 높일 것이란 우려가 제기됐다. 메이어는 첫아들 출산 넉 달 뒤 재택근무 제도를 없애며 반가정적이란 비판을 들은 바 있다.

메이어의 일 집착 때문에 야후의 위기관리 능력이 의심을 받는 게 두 번째 우려다. 앤 와이즈버그 미국 일과 가족위원회 부회장은 “팀을 믿고 자리를 비울 수 있어야 리더”라면서 “임신 이야기와 더불어 야후의 위기감을 쏟아낸 메이어의 소통 방식은 나쁜 선례”라고 비판했다. 이 같은 비판이 나오며 엉뚱하게도 여론의 다음 관심은 페이스북 CEO 마크 저커버그(31)가 쓸 출산휴가에 모아지고 있다. 저커버그는 출산휴가를 가겠다고 밝힌 바 있고 페이스북은 남녀에게 4개월의 유급 출산휴가를 보장한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5-09-08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