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나홀로 호황…3분기 GDP 성장률 5.0%

美 나홀로 호황…3분기 GDP 성장률 5.0%

입력 2014-12-23 23:37
업데이트 2014-12-23 23: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 각국이 경기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만 유독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유가 하락에 따른 루블화 폭락으로 경제 위기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러시아와 대비된다.

 22일(현지시간) AP 등에 따르면 미국의 지난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연간 환산 기준 5.0%로 확정됐다. 지난 10월 발표된 잠정치 3.5%보다 무려 1.5% 포인트 높은 값이며 2003년 3분기 이후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상무부는 이날 “개인소비지출(PCE)과 비거주자 고정자산투자가 지난달 2차 잠정치를 발표했을 때보다 증가하는 등 변화된 정보를 반영해 GDP 성장률을 수정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상무부는 분기별 경제성장률을 잠정치·수정치·확정치로 세 차례에 걸쳐 발표한다.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지난 3분기 미국 경제의 성장 폭이 4.6%였던 2분기보다는 낮은 4.3%가량일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GDP 확정치는 이런 예상치를 훌쩍 뛰어넘었다. 블룸버그 설문조사에 응답한 전문가들이 제시한 가장 높은 성장률은 4.5%였다.

 미국 경제의 약 70%를 차지하는 소비지출은 지난 3분기에 이전 전망치 2.2%보다 훨씬 높은 3.2%의 증가율을 보였던 것으로 수정 집계됐다. 기업 투자 역시 7.1%에서 8.9%로 높아졌다.

 한편 이날 뉴욕증시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보다 154.64포인트(0.87%) 상승한 1만 7959.44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7.89포인트(0.38%) 오른 2078.54를, 나스닥 종합지수는 16.04포인트(0.34%) 뛴 4781.42를 각각 나타냈다. 특히 다우와 S&P 500지수는 사상 최고치로 마감해 연말연시 ‘산타랠리’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