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국 폰 써라” 중국, 아이폰 금지령 확대…삼성 갤럭시 불똥 튀나

“자국 폰 써라” 중국, 아이폰 금지령 확대…삼성 갤럭시 불똥 튀나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3-12-17 11:00
업데이트 2023-12-17 1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아이폰15 중국 출시 첫날인 22일 오전 상하이의 한 애플스토어 앞에서 중국인들이 기다리는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아이폰15 중국 출시 첫날인 22일 오전 상하이의 한 애플스토어 앞에서 중국인들이 기다리는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중국이 정부 부처 직원들에게 애플의 아이폰 등 외국 브랜드 휴대전화 사용 금지령을 확대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아이폰을 겨냥한 것이지만 삼성전자 스마트폰 갤럭시에도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지난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의 최소 8개 성(省)에 있는 다수의 국영기업과 정부 부처가 지난 한두 달 사이 직원들에게 업무용으로 중국 브랜드 휴대전화를 사용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세계 최대 아이폰 공장이 있는 허베이성을 포함해 저장성, 광둥성, 장쑤성 등이 포함됐다.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 9월 베이징과 톈진 지역 공직자에게 외국 브랜드 휴대전화 금지령을 내린 바 있다. 이번 조치는 지난 번의 금지령이 확대된 것으로, 이들 지방의 하위 도시에 있는 작은 공공기관 직원들에게도 구두로 같은 지시가 내려진 것으로 전해졌다.

애플은 매출의 20%가 중국에서 나올 정도로 중국 시장 의존도가 크다. 중국이 외국 브랜드 휴대전화 사용 금지령을 확대한 건 미국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의도가 크다는 분석이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화웨이가 부활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제재 등에 막혀 고전하던 화웨이는 지난 8월 스마트폰 부품의 상당 부분을 중국산으로 채운 스마트폰을 깜짝 출시한 바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조치로 중국에서 성장을 지속하려 애쓰는 삼성과 애플에 중대한 도전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미미한 것으로 알려진 삼성전자는 더욱 어려운 판매 환경에 처할 것으로 우려된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아이폰 금지령을 부인하고 있다. 지난 9월 아이폰 금지령이 외신에 보도될 당시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애플 등 외국 브랜드 휴대전화의 구매·사용을 금지하는 법률·법규와 정책 문건을 내놓지 않았다”며 정부 차원의 금지령을 부인했다.
김민지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