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기시다 정상회담 개최 조율… 오염수 갈등 풀까

시진핑·기시다 정상회담 개최 조율… 오염수 갈등 풀까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3-11-10 02:33
업데이트 2023-11-10 02: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일, 15~17일 APEC 기간 추진
수산물 수입 등 현안 논의 주목

이미지 확대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기시다 후미오(오른쪽) 일본 총리. 신화·AP 연합뉴스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기시다 후미오(오른쪽) 일본 총리.
신화·AP 연합뉴스
중국과 일본 정부가 오는 15~17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양국 회담을 여는 방향으로 일정을 조율 중이다.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로 악화된 양국 관계가 해빙 분위기로 돌아설지 주목된다.

9일 교도통신과 NHK 등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 개최일은 오는 16일이 유력하다. 이와 관련해 아키바 다케오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이 막바지 협의를 위해 이날 베이징으로 향했다. 아키바 국장은 왕이 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과 만나 정상회담 의제 및 일정을 논의했다.

시 주석과 기시다 총리는 지난해 11월 APEC 정상회의 기간 태국에서 정상회담을 했다. 1년 만의 만남이 시선을 끄는 건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양국 관계가 급속도로 악화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가 지난 8월 24일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자 중국 정부는 그날부터 일본산 수산물 전면 수입 금지로 맞대응했다. 최근 일본 농림수산성이 발표한 9월 중국 대상 수산물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90.8% 감소한 8억엔(약 69억원)으로 집계됐다.

진주·산호·비단잉어 등 먹지 않는 품목이 들어가 어느 정도 수출 규모가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가리비나 해삼 등 오염수 방류 전 중국에 많이 수출했던 수산물은 없었다.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가 지난달 발표한 9월 무역통계에서 일본산 수산물 수입액은 수치가 아예 기록되지 않았다. 수산물 거래 자체가 없었던 탓이다. 오염수 방류 전 중국이 가장 큰 수산물 수출 시장이었던 일본으로서는 타격이 컸다.

일본 정부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대부분의 핵종을 제거하고 방류한다며 ‘처리수’라고 하지만 중국 정부는 이를 ‘핵오염수’라고 부르는 등 비판 수위를 낮추지 않고 있다. 주일 중국대사관은 오염수 3차 방류가 시작된 지난 2일 “일본이 잇따라 핵오염수를 해양에 쏟아버리면서 세계 해양 환경 안전에 중대한 위험을 야기했다”고 입장문을 냈다. NHK는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중국의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단 조치 철폐를 요구하는 등 양국 간 현안을 놓고 일본의 입장을 전달하는 한편 공통 과제에서는 협력하기로 하는 등 건설적이고 안정적인 중일 관계 구축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도쿄 김진아 특파원
2023-11-10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