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상사 직접 고르자 이직률 0%…日기업 ‘상사선택제’에 MZ “좋아요”

직장상사 직접 고르자 이직률 0%…日기업 ‘상사선택제’에 MZ “좋아요”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3-09-06 17:02
업데이트 2023-09-06 17: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직장인 자료사진(본 기사와 관련없음). 아이클릭아트
직장인 자료사진(본 기사와 관련없음). 아이클릭아트
최근 일본의 한 기업이 부하가 상사를 고르는 일명 ‘상사선택제’를 도입해 이직률을 획기적으로 낮춘 가운데 국내 2030 직장인 대다수가 ‘상사선택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6일 채용지원 기업 인크루트가 지난달 16~20일 직장인 76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86%가 상사선택제 도입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매우 긍정적(32.5%) ▲대체로 긍정적(53.5%) ▲대체로 부정적(12.8%) ▲매우 부정적(1.3%) 순이었다.

특히 2030대인 MZ세대는 87.2%가 상사선택제 도입에 긍정적이라고 답했다고 인크루트는 설명했다.

상사선택제 도입으로 기대되는 변화는 ▲갑질·직장 내 괴롭힘이 줄어들 것(22.8%) ▲상명하복, 연공서열의 문화 없어질 것(19.7%) ▲자유롭게 의견을 낼 수 있어 업무 프로세스가 더 효율화될 것(18.8%) 등의 의견이 나왔다.

상사선택제 도입에 부정적 의견을 나타낸 응답자들은 ▲편가르기 문화가 심해질 것(31.5%) ▲단순히 인기도에 따라 조직장으로 임명되는 것은 적절치 않음(30.6%) 등을 이유로 들었다.

● 상사선택제 도입 4년만에 ‘이직률 0%’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에 있는 ‘사쿠라 구조’라는 회사는 2019년 ‘상사선택제’를 첫 도입했다.

회사 직원 100여명은 매년 3월 ‘반장 활용 매뉴얼’이라는 50장 분량의 책자를 받는다. 책자에는 상사(반장)가 자신의 업무 스타일을 소개한 표가 들어있는데, ‘부하의 실수는 용납하지 않는다’ 등 질문에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 아니다(X)로 세세하게 표시돼 있다.
이미지 확대
일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연일 기록을 경신하는 가운데 지난 21일 일본 도쿄도(東京都) 시부야(澁谷)구의 교차로가 인파로 붐비고 있다. 2020.11.22 도쿄 연합뉴스
일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연일 기록을 경신하는 가운데 지난 21일 일본 도쿄도(東京都) 시부야(澁谷)구의 교차로가 인파로 붐비고 있다. 2020.11.22 도쿄 연합뉴스
직원들은 책자와 평가서 등을 참고해 함께 일하고 싶은 상사를 1지망, 2지망을 적어내고, 3개월 뒤인 6월부터 자신이 고른 상사와 함께 일하게 된다. 현재까지는 1지망으로 써낸 상사에게 100% 배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상사선택제’의 효과는 컸다. 제도 시행 4년만에 이직률은 11.3%에서 0%로 낮아졌다. 또 연간 약 8000건의 설계 업무를 처리하면서 지난해 매출은 전년도 대비 30% 증가했다.

다나카 신이치 사쿠라 구조 사장은 “스스로 업무 환경과 상사를 고른 것이니 선택한 사람의 책임도 크다는 마음가짐을 갖게 된 결과로 보인다”고 전했다.
김민지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