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생생리포트]미국 ‘팁 인플레’, ‘직원 복지비도 팁처럼’ 요구 식당에 반론 빗발

[특파원 생생리포트]미국 ‘팁 인플레’, ‘직원 복지비도 팁처럼’ 요구 식당에 반론 빗발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3-08-28 12:28
업데이트 2023-08-28 12: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팁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미국의 대도시 식당들에 최근 ‘웰니스 차지’(직원 복지비) 명목 요금이 등장해 고객들에게서 항의가 빈발하고 있다. 사진은 버지니아주의 한 주민이 넥스트도어 앱에 올린 자신의 식당 영수증. 음식 값, 팁과 별도로 ‘웰니스 차지’가 부과됐다. 넥스트도어 캡처.
팁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미국의 대도시 식당들에 최근 ‘웰니스 차지’(직원 복지비) 명목 요금이 등장해 고객들에게서 항의가 빈발하고 있다. 사진은 버지니아주의 한 주민이 넥스트도어 앱에 올린 자신의 식당 영수증. 음식 값, 팁과 별도로 ‘웰니스 차지’가 부과됐다. 넥스트도어 캡처.
코로나 대유행 이후 물가 상승에 시달리고 있는 미국에서 ‘팁 인플레이션’이 논란을 낳고 있다. 식당 종업원이나 배달 종사자들에게 주는 팁(봉사료)에 ‘직원 복지비’ 명목의 요금까지 손님에게 부과하는 식당들이 등장해 온라인 설전이 벌어졌다.

최근 워싱턴 DC의 현지 음식을 파는 인기 캐쥬얼 레스토랑 ‘파운딩 파머스’가 팁 논쟁에 휘말렸다.

미국판 ‘당근 마켓’인 넥스트도어 앱에는 식당 영수증 사진과 함께 “직원 정신건강 복지비를 손님에게 내라니요 ”라는 하소연 글이 올라왔다. 이 고객은 인기 식당 ‘파운딩 파머스’의 버지니아주 지점에서 지인들과 저녁식사를 즐겼는데, 밥값 영수증을 받고 고개를 갸우뚱했다. 튀김과 새우요리 등 요리 3개 가격은 49.48달러, 세금 3.12달러인데 그 외에 ‘웰니스 차지’(wellness charge·복지비) 2.47달러가 추가로 붙은 것이다.

이상하게 여긴 그는 매니저에게 문의했고 ‘직원들의 정신 건강을 위해 음식값의 5%가 웰니스 차지로 부과된다’는 답이 돌아왔다. 그는 “관련 설명이 메뉴판 아래 아주 작은 글씨로 씌어 있어 알아보지도 못했다”면서 “코로나 이후 식당들이 고전한 것은 알지만 이는 손님에 대한 모욕이다. 고객이 인질처럼 웰니스 차지를 물 게 아니라 선택권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결국 그는 식당에 항의해 웰니스 차지 요금을 철회하고, 내지 않았다.

레스토랑 홈페이지에는 지난 6월 ‘고객들에게 보내는 메시지’에서 웰니스 차지 도입을 안내하며 “건강하고 안정적이며 공평한 근무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직원들의 무료 정신건강 지원, 건강 보험 이용, 유급 병가 등 늘어난 운영 비용에 충당한다”며 “의무는 아니다”라고 했다.

코로나 이후 팁 인플레이션으로 기존 15% 안팎이던 팁이 대도시에선 최소 20%~최대 45%까지 늘어났다. 스타벅스 같은 테이크아웃 카페에서도 카드 결제 무인 시스템을 통해 팁을 요구하면서 팁의 본고장인 미국에서도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 이런 와중에 대도시 식당들 위주로 등장한 웰니스 차지에 대해서도 쓴 소리가 큰 분위기다.

300개에 가까운 댓글들에는 식당을 향한 비판이 주를 이뤘다. 지역 주민 앤 애셔는 “식당이 부정직한 것”이라며 “손님에게 직원 복지비를 청구할 게 아니라 직원들에게 팁 없이도 노동에 걸맞은 급여를 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답글에는 “음식이 맛있고 식당이 깨끗한지, 즐거운 경험이었는지 등을 넘어서 웰니스 차지가 우리에게 사회적 질문을 던지는 것 같다”면서도 “하지만 나는 앞으로 이 식당에 갈 것 같지 않다”고 적혔다.
워싱턴 이재연 특파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