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방위에 구멍났다”…중국 정찰풍선 확인에 당황한 日

“일본 방위에 구멍났다”…중국 정찰풍선 확인에 당황한 日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3-02-15 14:13
업데이트 2023-02-15 16: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미군이 격추한 중국 정찰 풍선
미군이 격추한 중국 정찰 풍선 미국이 스텔스 전투기 등을 동원해 자국 영토에 진입한 중국의 ‘정찰 풍선’을 격추하고 있다.
미국 해군연구소 트위터 캡처
일본 정부가 과거 자국 영공에서 발견됐던 미확인 기구가 중국의 정찰 풍선이라고 결론 내린 뒤 일본 내 방어 체계에 구멍이 뚫린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아베 신조 전 총리 집권 시절 방위상을 맡았던 오노데라 이쓰노리 자민당 안전보장조사회장은 15일 당 회의에서 “지금까지 (미확인 기구가) 중국 것이라는 것을 파악하지 못했다면 엄청난 문제”라며 “만일 파악하고 있었음에도 지금까지 항의하지 않았다면 더욱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우리나라(일본) 방위에 있어 큰 구멍이 있는 게 아닌가 우려스럽다”며 “향후 어떻게 대처할지 정부가 설명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자민당 내에서는 추후 이러한 미확인 기구가 발견되면 격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져나왔다. 앞서 하마다 야스카즈 방위상은 7일 기자회견에서 외국의 정찰 풍선이 일본 영공을 침입하면 자위대에 의한 격추는 법적으로 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다.

방위성은 14일 “2019년, 2020년, 2021년을 포함해 과거 일본 영공 내에서 발견된 특정 기구형 비행물체를 분석한 결과 중국이 날린 무인 정찰용 기구라고 강하게 추정된다는 판단에 이르렀다”라고 밝혔다. 이어 “외교 경로를 통해 중국 정부에 사실관계 확인과 함께 앞으로 이런 사태가 생기지 않도록 강하게 요구했다”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가 중국 정찰 풍선이 세계 곳곳에서 활동했다고 발표한 이후 일본에서도 과거 유사한 형태의 미확인 기구가 발견됐었다는 목격담이 나왔다. 2019년 가고시마현, 2020년 미야기현, 2021년 아오모리현에서 각각 미확인 기구가 발견됐다는 것인데 일본 방위성 분석 결과 중국 정찰 풍선으로 결론 내린 것이다.

1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미일 차관 회담에서도 화두는 중국 정찰 풍선 대응이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미군이 중국 정찰 풍선을 격추한 데 대해 “중국에 의한 주권 침해로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대처했다”고 밝혔다.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은 미국이 입장을 지지한다고 했다.
도쿄 김진아 특파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