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인도, 코로나 사망자 대폭 축소…공식통계의 3~5배”

“인도, 코로나 사망자 대폭 축소…공식통계의 3~5배”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1-06-28 07:08
업데이트 2021-06-28 07: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워싱턴대 연구진 “공식 사망자 39만명의 3배 추정”

이미지 확대
인도 알라하바드의 한 병원에서 26일(현지시간) 의료진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인도 알라하바드의 한 병원에서 26일(현지시간) 의료진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델타 변이’ 위험도 파악에 걸림돌


‘델타 변이’가 확산한 인도에서 보건당국이 코로나19 사망자 수를 대폭 축소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7일(현지시간) 전문가 분석과 유가족 증언 등을 토대로 보도했다.

미국 워싱턴대 의과대학 산하 보건계량분석연구소(IHME) 분석 결과 인도의 진짜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공식 통계(39만여명)의 3배에 가까운 110만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공식 확진자 수는 실제의 3~5%”
게다가 인도 당국이 집계하는 공식 확진자 수는 실제 확진자의 고작 3~5%에 불과한 것으로 추산됐다.

인도의 코로나19 피해 과소 집계는 인도에서 시작된 델타 변이의 영향을 파악하는 데 커다란 장애가 되고 있다고 WSJ은 평가했다.

크리스토퍼 머리 IHME 소장은 “(인도의) 사망·확진자 수의 정확한 집계는 새로운 변이가 얼마나 큰 위협인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며 안타까워했다.

실제 사망자 수가 더 많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영국 미들섹스대의 수학자 무라드 바나지는 인도의 사망 통계와 혈청학적 조사 결과 등을 근거로 인도 내 코로나19 사망자 수가 공식 집계 결과의 5배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지난달 전 세계의 진짜 코로나19 사망자 수가 공식 통계의 2∼3배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특히 인도와 중남미·아프리카의 개발도상국들에서는 잘못된 통계 문제가 더욱 심각한 실태일 것으로 추정된다.

병원 찾아도 진단검사 못 받고 사망 사례 다수
인도의 경우 델타 변이가 급속도로 확산한 지난 4월부터 5월 초 사이 병원들이 다수의 환자를 그냥 돌려보내는 바람에 진단검사를 받지 못하고 집에서 확진 판정 없이 사망한 케이스가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인도 북동부 우타르프라데시주의 한 빈민촌에 사는 38세 여성은 지난달 고열과 호흡곤란으로 여러 병원을 찾았으나, 어느 곳에서도 남는 병상은커녕 진단검사 키트조차 없었다고 남편 비에지 팔 싱이 WSJ에 전했다.

그는 “아내는 집에서 산소를 갈구하다 죽었지만 공식 사망자 집계에는 포함되지 않았다”면서 “최소한 우리 마을과 주변 지역에서 공식 집계는 완전히 엉터리”라고 말했다.

코로나19에 의한 사망으로 분류되지 못하면서 정부의 코로나19 사망 보상금을 받지 못하는 사례도 있었다.

지난 4월 동부 비하르주의 자택에서 숨진 70대 여성 실라 싱은 사망 닷새 전 항원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고 바이러스성 폐렴이 확인됐는데도 역시 사망자 통계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WSJ은 전했다. 이 때문에 유가족은 정부 당국으로부터 40만 루피(약 608만원) 상당의 코로나19 사망 보상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

중앙정부, 사망자 적은 주 칭찬해 과소집계 부추겨
또 인도 중앙정부가 코로나19 사망자가 적은 주(州)를 칭찬하고, 사망자가 많은 주를 비난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도 각 지방정부의 과소 집계를 부추긴다고 바나지 교수는 전했다.

이에 대한 지적이 나오자 일부 주와 대도시들은 최근 코로나19 사망자 수치를 상향 조정하고 있으나, 여전히 실제 사망자 수에는 크게 미치지 못한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