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수에즈운하 컨테이너선 좌초에 국제유가 급반등…WTI 5.9%↑

수에즈운하 컨테이너선 좌초에 국제유가 급반등…WTI 5.9%↑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1-03-25 06:09
업데이트 2021-03-25 06: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에즈 운하를 가로막고 멈춰선 한 대형 컨테이너선.  인스타그램 캡처
수에즈 운하를 가로막고 멈춰선 한 대형 컨테이너선.
인스타그램 캡처
이집트 수에즈 운하에서 발생한 초대형 컨테이너선 좌초 사고에 국제유가가 급반등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5.9%(3.42달러) 치솟은 61.1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하락분(-3.80달러)을 하루 만에 거의 만회해 배럴당 60달러선을 회복한 것이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5월물 브렌트유도 오후 3시 35분 현재 배럴당 5.5%(3.37달러) 급등한 64.1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같은 국제유가 상승은 지중해와 홍해를 연결하는 수에즈 운하 한복판에서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좌초되면서 유조선을 포함한 무역선들의 항행이 막혀버렸기 때문이다.

길이 400m, 22만t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에버 기븐’이 23일(현지시간) 이집트 수에즈 운하 북쪽 수로에 진입한 뒤 좌초해 양쪽 제방에 걸린 채 멈춰 서버렸다.
이미지 확대
뱃길 막힌 수에즈 운하… 강풍에 400m 컨테이너선 좌초
뱃길 막힌 수에즈 운하… 강풍에 400m 컨테이너선 좌초 길이 400m, 22만t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에버 기븐’이 23일(현지시간) 이집트 수에즈 운하 북쪽 수로에 진입한 뒤 좌초해 양쪽 제방에 걸린 채 멈춰 서 있는 장면을 플래닛 랩스 위성사진이 포착했다. 중국에서 출발해 네덜란드 로테르담으로 향하던 파나마 선적의 에버 기븐은 갑자기 불어온 강풍에 항로를 이탈, 바닥과 충돌하면서 이날 오전 7시 40분쯤 좌초했다. 사고 이후 8척의 예인선이 투입돼 선체 부양을 8시간 넘게 시도했으며, 그동안 선박들은 운하를 통과하지 못하고 대기했다. 대서양과 인도양을 잇는 길이 192㎞의 수에즈 운하 대부분 구간의 폭은 200m로 하루 평균 50여척의 대형 선박이 오가는 길목이다.
AP 연합뉴스
중국에서 출발해 네덜란드 로테르담으로 향하던 파나마 선적의 에버 기븐은 갑자기 불어온 강풍에 항로를 이탈, 바닥과 충돌하면서 이날 오전 7시 40분쯤 좌초했다.

사고 직후 8척의 예인선이 투입돼 사고 선박을 양쪽에서 밀고, 선박의 평형수를 줄여 선체 부양을 시도하고 있다. 좌초된 선체 일부가 작업 끝에 다시 물에 뜬 것으로 전해졌다.

지중해와 홍해를 연결하는 수에즈 운하는 길이가 약 190㎞에 달하는 세계 최대의 운하다.

아프리카 대륙을 우회하지 않고 곧바로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글로벌 교역의 핵심 통로로, 지난해 기준 약 1만 9000척, 하루 평균 51.5척의 선박이 이 운하를 통과, 전 세계 교역량의 12%를 담당했다.

다만 이번 수에즈 운하 정체 사태가 국제 유가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선박 추적 사이트 ‘Vessel Finder’ 캡처
선박 추적 사이트 ‘Vessel Finder’ 캡처
BD스위스의 투자연구 책임자인 마셜 기틀러는 마켓워치에 “국제 해상 원유 수송량의 약 10%가 수에즈운하를 통과한다”면서도 “이번 영향은 그다지 지속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유럽 각국이 코로나19 ‘3차 대유행’ 우려에 따라 각종 봉쇄 조치를 재도입하는 상황이 유가 수요 전망을 불투명하게 만들고 있다.

한편 국제 금값은 3거래일 만에 첫 상승을 기록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0.5%(8.10달러) 오른 1,733.20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