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실수로 피임 대신 백신”…美정부 110억 배상

“간호사 실수로 피임 대신 백신”…美정부 110억 배상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0-11-18 17:22
업데이트 2020-11-18 17: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위 기사와 관련 없음)/AP연합
(위 기사와 관련 없음)/AP연합
피임약 대신 독감백신 맞고 임신
태어난 여아 선천적 뇌 기형
“병원 지원하는 연방정부에 책임”


미국에서 피임 주사를 맞으러 갔다가 간호사 실수로 독감 주사를 대신 맞고 임신한 여성에게 정부가 1000만달러(약 110억7000만원)를 배상해야 한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17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워싱턴주 서부 연방지방법원은 최근 연방정부가 이 여성의 아이에게 750만 달러, 여성과 아이 아버지에게 250만 달러를 각각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엘살바도르 난민으로 16세 때 미국에 건너온 이 여성은 2011년 ‘데포프로베라’라는 피임 주사를 맞기 위해 시애틀의 한 병원을 찾았다. 이 주사는 3개월에 한 번씩 꾸준히 맞아야 피임 효과가 생긴다. 하지만 해당 병원의 간호사는 병원 기록을 제대로 보지 않은 채 그에게 데포프로베라 대신 독감백신을 접종했다.

여성은 두 달 뒤 다음 처방을 예약하려고 병원에 연락했을 때야 자신이 주사를 잘못 맞은 사실을 알게 됐다. 결국 원치 않는 임신 끝에 여아를 출산하게 됐다.

현재 8살인 이 아이는 ‘양측성 실비우스고랑 주위 다왜소회뇌증’이라는 희귀질환을 갖고 태어났다. ‘양측성 실비우스고랑 주위 다왜소회뇌증’은 뇌 기형의 일종으로, 아이는 지능지수(IQ)가 70이고 인지 지연, 뇌전증, 시력 저하 등의 합병증을 앓고 있다.

해당 병원은 저소득층과 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환자들을 치료하는 곳인 만큼 법원은 연방정부에 배상 책임이 있다고 봤다.

여성 측 변호인은 “딸아이의 천문학적인 의료, 교육비를 지원받게 돼서 아이의 부모가 기뻐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